먹거리·실물경제 총괄 ‘공룡부처’… 현 정권 4년 새 장관 4번이나 교체
지식경제부는 산업과 무역, 에너지와 자원, 정보기술(IT) 등 우리 미래 먹거리 개발뿐만 아니라 국민 생활과 직결된 실물경제를 총괄하는 부처다.2008년 이명박(MB) 정부는 산업자원부의 산업·무역·투자·에너지와 정보통신부의 IT산업·우정사업, 과학기술부의 산업기술 연구·개발(R&D) 정책 등의 업무를 한곳에 합친 거대 부처 지경부를 탄생시켰다.
지경부의 뿌리는 상공부다. 1993년 상공부가 동력자원부와 합쳐지면서 상공자원부가 됐다. 1994년 문민의 정부는 대외 통상 업무를 강화한다며 상공자원부를 통상산업부로 개편했다. 1998년 국민의 정부는 대외 통상 업무를 외교통상부로 이관하면서 산자부로 이름을 바꿨다. 그리고 2008년 MB 정부가 부처 간의 중복 기능을 과감히 통합하고 부처 수를 줄이는 감축 관리기법을 도입하면서 산자부를 없애고 거대한 공룡 부처를 만든 것이다.
지경부는 크게 두 축으로 나뉜다. 윤상직 1차관 담당인 산업, 미래성장, 정보통신 분야와 조석 2차관 담당인 무역과 에너지로 분류된다.
2008년 출범한 지경부는 두 차례 조직을 손봤다. 지난해 5월 우리나라와 신흥국 간의 산업과 자원 협력 촉진을 총괄하는 컨트롤타워인 산업자원협력국을 신설했다. 중동과 중남미 등에 공장이나 원자력발전소를 짓는 것뿐 아니라 도로, 항만 등의 인프라 건설 등 패키지로 수출할 수 있도록 각종 지원을 하는 부서다. 또 지난 4월 정책적으로 소외된 중견기업에 대한 지원정책을 체계화하기 위해 중견기업정책국을 신설했다. 홍석우 장관이 동반성장이라는 시대적 흐름과 중소기업부 신설 움직임에 대한 대응으로 또 한 개의 국을 추가했다.
지경부 장관도 4년 사이에 네 차례나 바뀌었다. 이윤호 장관(2008년 2월~2009년 9월), 최경환 장관(~2011년 1월), 최중경 장관(~2011년 11월)에 이어 현 홍 장관이 바통을 이어받았다. 홍 장관은 전력 수급이 불안하자 ‘절전’을 외치며 그 역할을 다하고 있다. 적재적소 인사, 직원 간의 소통, 보고 형식의 파괴 등 지경부에 새로운 바람을 불어넣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워커홀릭’으로 통하는 윤상직 1차관은 앞서 2010년 청와대 비서관을 거치며 정무 감각과 폭넓은 정책 감각을 보탰다. 2011년 5월 1차관으로 지경부에 복귀했으며 유연한 태도와 앞을 내다보는 정책 제시 등으로 후배들의 신망이 두텁다. 에너지 분야의 전문가인 조석 2차관은 9·15 정전 대란 후인 지난해 12월 차관에 올랐다. 시끄러운 원전 문제와 전력 수급 부족 문제 등을 전담하면서 지경부 조직에 긴장감을 불어넣는 시어머니 역할을 하고 있다.
김재홍 성장동력실장은 일 처리에 있어 비전과 계획을 갖고 치밀하게 추진하기 때문에 성공한 정책을 많이 만들었다. 한진현 무역투자실장과 문재도 산업자원협력실장은 지경부의 정통한 에너지 전문가로 꼽힌다.
한준규기자 hihi@seoul.co.kr
2012-07-09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