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청 운영지원과 경험 등 고려 발탁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는 최근 전북 진안에 있는 운장산자연휴양림 책임자로 기능직(7급)인 안홍근(51) 팀장을 임명했다. 기능직 공무원이 휴양림 팀장에 배치된 것은 처음이다.
책임 운영기관인 자연휴양림관리소는 본청 운영지원과에서 지원 업무를 오랫동안 맡았던 안 팀장이 경험이 풍부하고 접객업무에 밝은 점을 고려해 발탁했다고 밝혔다. 휴양림 팀장은 6~7급 일반직이 맡아 왔다.
안 팀장은 지난 7월 말 업무를 시작하면서 현안이던 휴양림 진입로의 사유림을 마을 이장과 상의해 해결하고, 서부지방산림청과 협의해 부족한 산책로 확장에 나서는 등 다양한 활동을 벌이고 있다.
안 팀장은 “기능직은 현장 경험이 부족한 것이 약점”이라면서도 “공직 경력 30년을 평가받는 기회로 삼겠다.”고 밝혔다.
●‘철도관제권’ 새 운영자 연내 선정
정부가 코레일에서 철도관제권 회수 방침을 정하고 연구용역을 진행 중인 가운데 연내 새로운 운영자를 선정할 것으로 알려졌다.
관제권은 열차 운행계획을 수립하고 운행 및 통제 등을 총괄하는 국가사무지만 그동안 운영주체인 코레일에 위탁 운영해 왔다.
초기에는 관제의 중립을 위해 제3의 기관에 맡기는 방안이 유력하게 거론됐으나 최근 “시설관리자(철도공단)가 맡아야 한다.”는 여론이 높아지고 있다.
철도공단은 관제권 위탁이 마냥 반갑지는 않다. 실·단이 생기는 등 조직 확대 효과는 있지만 업무 연관성이 없어 자칫 조직 내 ‘섬’으로 전락할 수 있다. 조직과 인사, 복무 관련 규정과 사고복구체계 등도 새로 제정해야 한다.
한 관계자는 “관제는 사고 발생 시 복구지휘와 상부 보고 등 책임과 부담이 뒤따른다.”고 말했다.
정부대전청사 박승기기자 skpark@seoul.co.kr
2012-09-07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