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성화고 졸업생 취업 공개 오디션으로 주선”
“고졸 취업에 대한 왜곡된 인식, 무조건 대학에는 가야 한다는 부모의 생각을 바꿔보자는 취지였습니다.”중소기업청 공정혁신과 박만용(51) 사무관은 특성화고 학생들이 공개경쟁을 거쳐 기업에 채용되는 과정을 담은 방송프로그램 ‘스카우트’를 기획, 실현했다. 기획 의도는 단순했다. 지난 2010년 인력개발과에 근무하면서 고질적인 중소기업 인력난의 심각성을 알게 됐다. 특성화고(690여개) 업무를 담당하던 박 사무관은 학교 현장을 돌아보면서 학생들의 역량이 우수하다는 점을 간파했다.
●방송 프로그램 ‘스카우트’ 기획
박 사무관은 “1990년대 8.2%이던 특성화고 학생들의 진학률이 2009년 73.5%까지 치솟았다.”면서 “고졸 취업자를 ‘경쟁에서 뒤처진 사람’이라고 인식하는 것이 문제였다.”고 진단했다.
전문가를 초청해 학교를 찾아다니며 특강을 했지만 일시적인 효과만 있었을 뿐 한계를 드러냈다. 그는 기업의 채용 담당자 앞에서 공개 오디션 방식으로 학생들의 우수성을 보여 주자는 기획안을 내놨다. 학생들의 역량을 목격한 실무자로서 자신이 있었지만 내부적으로 별 반응이 없었다. 성과에 대해 반신반의하는 목소리도 많았다. 이런 와중에 정부가 고졸채용 확대와 실력위주의 공정한 사회 만들기를 정책에 반영하면서 사업 추진에 가속도가 붙었다.
●1년새 130명 취업… 대통령이 깜짝 면접관
2011년 11월 9일 첫 방송 날짜가 잡혔지만 엉뚱한 곳에서 문제가 터졌다. 기업과 학교, 학생 섭외가 어려웠다. 학교와 학생들이 새로운 경험, 실패에 대한 불안감에 출연을 주저했다. 우여곡절 끝에 시작한 도전은 폭발적인 반응을 불러왔다.
9월 인사에서 공정혁신과로 자리를 옮긴 박 사무관은 “학생들의 진로 지도에 ‘스카우트’를 활용한다는 말을 들었다.”면서 “원인과 해법이 현장에 있었기에 단순하게 접근한 것이 좋은 결과로 이어진 것 같다.”고 말했다.
정부대전청사 박승기기자 skpark@seoul.co.kr
2012-10-29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