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직 이용자 5년새 4배 증가
안전행정부에서 인사분야를 주로 담당해 온 A(42) 과장은 약 두 달 전쯤 아내가 둘째 아이를 얻었다. 그는 아이를 돌봐줄 사람이 마땅치 않아 불가피하게 최근 1년간의 육아휴직을 신청했다. 과장급 인사의 육아휴직은 옛 내무부, 총무처 시절을 모두 포함해도 역대 처음 있는 일이다.이처럼 육아휴직이 더 이상 여성들, 그리고 하위 직급 직원들만의 전유물이 아니다. 16일 현재 안행부에서 육아휴직 중인 직원은 94명이다. 이 중 남자는 7명이다. 4급 이상으로 따지면 2명밖에 없다. 남녀 한 명씩이다.
대상을 넓혀 42개 중앙행정기관 일반직 공무원 전체의 육아휴직 현황을 봐도 육아휴직은 계속 늘어나는 추세다. 2007년 1128명이던 육아휴직은 지난해 4463명으로 꾸준히 늘고 있다. 5급 이상 공무원의 육아휴직 역시 2007년 59명에서 269명(2012년)으로 늘었다. 4급 이상만 따져도 2007년 9명에서 2012년 45명까지 늘었다. 2009년에는 3급 공무원이 육아휴직을 썼던 사례도 있다.
박록삼 기자 youngtan@seoul.co.kr
2013-07-17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