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행부, 올 10여곳 시범 실시
안전행정부는 생활안전지도 서비스 제공과 지자체 안전지수 관리시스템 제공 등을 내용으로 하는 안전정보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사업을 시작한다고 28일 밝혔다.
생활안전지도는 올해 범죄와 재난, 교통, 생활안전 등 4개 분야에 대해 10여개 시·군·구를 대상으로 시범사업을 실시하고 내년 하반기에 전국으로 범위를 확대해 공개할 예정이다. 생활안전지도가 구축되면 경찰서와 소방서, 폐쇄회로(CC)TV 등의 위치에 대한 정보와 주변의 범죄발생 지역이 어디인지를 인터넷이나 스마트폰을 통해 알 수 있게 된다. 범죄 위험이 큰 지역은 안전취약구역으로, 경찰지구대나 가로등이 있는 지역은 안전우수구역으로 표시된다. 지자체나 경찰서도 생활안전지도의 정보를 바탕으로 위험시설을 개선하거나 순찰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안행부는 유형별 핵심 안전지표를 지수화해 개발하고 내년에 시범 시·군·구에 제공한 뒤 2015년부터는 전 국민에게 공개할 방침이다. 특히 지역별로 안전지수가 공개되면 지역마다 안전 취약 분야를 분석할 수 있어 다양한 안전대책을 시행할 수 있게 된다. 지자체들도 이를 바탕으로 일선의 안전에 대한 투자를 선별적으로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안행부는 우선적으로 25억원을 투자해 시범구축을 추진하고 2015년까지 200억여원을 투자해 시스템 구축을 완료할 계획이다.
유정복 안행부 장관은 “이번 사업을 계기로 안전정보 공유 및 기관 간 협업을 통해 국민이 체감하는 안전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보완·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안석 기자 ccto@seoul.co.kr
2013-08-29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