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 안전·지방행정 정책 총괄 지휘
안전행정부 2차관실은 지방행정을 총괄하는 내무 분야와 박근혜 정부가 강조하는 안전 업무를 맡고 있다. 지방과 안전 모두 현장과 밀접하게 연계돼 있는 게 특징이다. 중앙집권적 시각을 가진 정부관료들에 비해 2차관실 관료들은 자치, 분권에 대한 문제의식이 더 강하다. 중앙부처 협의 과정에서 분권과 균형 발전의 시각을 대변하며 늘 ‘외로운 싸움’을 해야 하는 것이 이들의 운명이기도 하다. 감사관, 윤리복무관도 2차관실 산하다. 정재근 지방행정실장은 언행에서 언제나 자신감이 묻어나온다. 선배로서 부하 직원에게 강한 확신과 믿음을 준다. 옛 내무부 시절 유정복 장관과 함께 근무하기도 했던 그는 장관의 의중을 누구보다도 정확히 파악한다는 평가를 받는다. 대전시에서 근무하며 시 발전계획 용역을 이례적으로 지자체 연구기관이 아닌 한국개발연구원(KDI)에 맡겼던 일화는 ‘스케일이 다르다’는 그의 성격을 보여주는 사례다. 독일대사관 공사, 지방재정세제국장을 거쳤다. 행정안전부 기획조정실장으로 올해 초 박근혜 정부 인수 과정의 총무 역할을 깔끔하게 완수했다.류순현 지방행정정책관은 지방행정 분야에서 잔뼈가 굵었다. 권위의식이 없어 부하직원들에게도 격의 없이 대하는 상사로 통한다. 나직한 목소리로 언행도 늘 신중하다.
교부세 과장, 지방재정국장 등을 역임하며 지방재정 분야의 한우물만 판 이주석 지방재정세제실장은 안행부 내 대표적인 ‘재정통’이다. 일처리가 깔끔하고 치밀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지방재정세제실장은 기획재정부 세제실과 대립각을 세울 수밖에 없어 부처 내에서도 가장 중요한 자리다. 검증되고 투쟁력 있는 ‘중량급’ 인사만이 실장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안행부 내 그의 위상이 어느 정도인지를 가늠케 한다.
배진환 지방세제정책관은 안행부 내 대표적인 ‘신사’로 꼽힌다. 과장 초임 시절인 2003년 김두관 장관이 취임하며 장관 비서실장으로 발탁된 경력은 상당히 이례적으로 평가받는다. 정치인 출신 장관의 비서실장은 외부에서 오는 게 일반적이기 때문이다. 당시 간부 인사카드를 직접 검토한 김 전 장관이 배 정책관을 비서실장으로 낙점했다고 한다.
이재율 안전관리본부장을 얘기할 때 빼놓을 수 없는 것이 구제역이다. 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관이었던 2011년 구제역 사태를 일선에서 진두지휘하며 좋은 평가를 받았다. 당시 업무 파트너였던 농림수산식품부 장관이 지금 유정복 안행부 장관이다. 그가 안전관리본부장으로 발탁된 배경에는 유 장관과의 ‘구제역 인연’이 자리하고 있다는 분석도 있다. 경기도에서 주로 근무해 본부 근무 경험이 적었던 그는 2011년 지방행정국장에 전격 발탁되며 주변을 놀라게 했다.
행자부 자치행정팀장, 행정선진화기획관 등을 역임한 정종제 안전정책국장은 소설가이자 에세이 작가이기도 하다. 평소 대화에서 르네상스 시대 등의 문예사조에 대한 얘기를 청산유수처럼 말하는 그는 창의성과 문화적 감성을 두루 갖췄다는 평가를 받는다. 지난해 정형화된 창작의 본래 의미를 찾고 싶다며 언론사 신춘문예 소설 부문에 두 차례 응모하기도 했다.
송영철 감사관은 업무의 큰 방향을 잡아주고 세세한 내용은 직원들에게 맡기는 편이다. 사무관 시절인 1995년 삼풍백화점 붕괴 사고 이후 재난관리법률 제정 작업의 실무를 맡아 당시에는 생소했던 ‘특별재난지역’ 등의 개념을 만들었다. 부처 이름을 바꿀 정도로 중요해진 안전 관리의 시작이 그의 머리에서부터 나온 셈이다.
장관실 직속인 김석진 대변인은 원만한 대인관계와 겸손함이 장점이다. 윤리복무관을 지내며 고위공직자 취업 제한 등 공직자윤리법 개정을 적극적으로 추진했다. 당시 전관예우 등을 바라보는 국민의 눈높이를 정확히 읽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안석 기자 ccto@seoul.co.kr
2013-08-29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