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백억 지원 불구 신청 없어
이에 따라 충북 청주시는 상당한 기대를 갖고 제2매립장 후보지 공개 모집에 나섰지만 청주시는 예외였다. 시가 최첨단 친환경 시설을 갖추고 수백억원을 지원한다고 약속했지만 신청조차 하는 지역이 없다. 29일 시에 따르면 지난달 2일부터 이달 말까지 두달간 제2매립장 후보지를 공개 모집하고 있다. 한 마을의 일부 주민들이 유일하게 관심을 보여 직원들이 매립장 추진 계획을 설명하고 온 게 고작이다. 현재 유치 희망서 제출을 위해 거쳐야 하는 70% 이상의 주민 동의와 토지 소유자 70% 이상의 매각 동의 절차를 진행 중인 마을이 없어 이번 공모는 사실상 무산될 것으로 보인다.
이런 결과는 시의 예상을 크게 빗나간 것이다. 총 670억원이 투입되는 이 매립장은 쓰레기가 비를 맞지 않도록 지붕형으로 건립돼 토양 및 수질을 오염시키는 침출수를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반입되는 쓰레기는 그대로 묻지 않고 선별 시설을 거쳐 가연성 쓰레기는 소각장으로, 재활용품은 재활용센터로 보내진다. 매립장에는 불연성과 썩지 않는 물질만 매립된다. 악취 외부 방출 차단을 위해 매립장에 침출수 사전 감지 자동센서, 공기정화시설 등도 설치된다. 재정적인 지원도 상당하다. 후보지 주민들에게 매립장 사용 기간인 40년 동안 해마다 10억원이 지원되는 등 총 500억원과 매점 운영권 등의 인센티브가 제공된다.
시 관계자는 “청주가 도시형 지자체다 보니 매립장이 들어설 만한 외곽 지역 마을이 서너 곳밖에 안 돼 더욱 어려운 것 같다”면서 “일부 주민들이 관심을 갖지만 이웃들 눈치를 보며 선뜻 나서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오는 12월부터 두달간 2차 공모에 나설 시는 더욱 몸이 달아 있다. 시가 청원군과의 통합을 앞두고 있기 때문이다. 통합 상생합의문에는 ‘혐오 시설은 청주 지역에 건립하도록 노력한다’는 문구가 있다. 시는 통합이 매끄럽게 진행될 수 있도록 통합 전에 매립장 후보지를 찾으려 하고 있다. 2차 공모까지 무산되면 시는 어쩔 수 없이 내년 7월 통합 청주시 출범 이후 후보지 대상 지역을 청원군으로 확대해 3차 공모를 진행해야 한다.
청주 남인우 기자 niw7263@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