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는 29일 겨울철 난방이 본격화되는 11월부터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 증가가 예상되면서 국민건강과 생태계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대기오염 예보 효율화 방안’을 마련, 시행한다고 밝혔다.
대기오염 예보 효율화는 예보등급을 인체위해성에 근거해 과학적으로 조정하고 예보 횟수와 항목 확대, 예보권역을 세분화해 오염도를 보다 객관적이고 신속·정확하게 제공키 위한 조치다.
현행 5단계인 예보등급은 4단계(좋음-보통-나쁨-매우나쁨)로 조정된다. 애매한 표현으로 혼란을 주었던 ‘약간나쁨’을 ‘나쁨’으로 통합했다. 예보횟수는 현행 1일 2회(11시·17시)에서 4회(5시·23시 추가)로 확대해 시시각각으로 변하는 대기질 상황을 빠르게 알려줄 계획이다. 6개 예보권역을 수도권(서울·인천·경기남부·경기북부)과 강원권(영동·영서)으로 세분화, 총 10개 권역으로 확대했다.
또 2015년 1월 1일부터 초미세먼지(PM2.5)와 오존(O3)에 대한 예보도 이뤄진다. 송창근 국립환경과학원 대기질통합예보센터장은 “미세먼지로 인한 건강 피해가 최소화할 수 있도록 실시간 예보정보와 신(新) 국민행동요령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세종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