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대통령, 프레지던츠컵 의장 수락…‘불황’ 골프산업 지원책 기대 상승
‘꽁꽁 얼었던 공직자 골프에 훈풍이 불까.’국내 골프계는 반색의 기운이 역력하다. 그동안 공직자 골프에 대해 부정적인 생각을 보이던 대통령이 “골프는 스포츠뿐만 아니라 산업적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하다”며 골프를 ‘산업’으로 강조한 대목에 주시하고 있다. 대통령의 한 마디가 지금까지 비록 공식적이지는 않았지만 알아서 몸을 사리고 있던 고위 공무원들의 ‘골프 해금’은 물론, 세월호 참사의 여파로 꽁꽁 얼었던 국내 골프 시장을 봄눈 녹듯이 녹일지도 모른다는 분위기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현 정부 들어 사실상 지속되고 있는 공직사회의 ‘골프금지령’이 풀리는 건 물론 골프장과 골프용품 등 최근 불황에 허덕이고 있는 골프 관련 산업에 대한 실질적인 지원책에 대한 기대까지 부풀리고 있는 셈이다.
프레지던츠컵은 라이더컵과 함께 세계 남자골프를 대표하는 양대 국가대항전이다. 무려 225개국, 10억 가구에 30개 언어로 중계되는 지구촌 골프축제다. 개최국의 행정수반이 명예의장직을 수행한다는 게 독특하다.
그러나 섣부른 예단을 경계하는 목소리도 있다. 대한골프장경영협회의 최문휴 고문은 “대통령이 골프를 산업적 측면에서 바라보는 시각에는 환영한다”면서도 “그러나 이를 현재의 모든 상황을 녹일 수 있는 난로 쯤으로 생각해선 곤란하다”면서 확대해석을 경계했다. 이어 “그보다는 프레지던츠컵을 계기로 발생하게 될 경제적인 효과, 국가 브랜드 격상 효과 등을 면밀하게 짚어주고 이해시켜서 골프가 정말로 국가가 나서서 키워야 할 산업 브랜드로 인식시키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말했다.
최병규 기자 cbk91065@seoul.co.kr
2014-11-06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