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년간 438개 개발 로열티 312억 절감
외국에 로열티를 주고 원예작물 신품종 종자를 구입해 오던 우리나라가 이제 로열티를 받는 국가로 위상이 바뀌고 있다.농진청 분석 결과 지난해까지 9년 동안 463억원을 투입해 딸기, 장미, 국화, 난, 참다래, 버섯 등의 신품종 438개를 개발함으로써 해외 업체에 지불해야 할 로열티 312억원을 절감했다. 농진청은 이 기간 동안 장미 140개, 국화 105개, 난 99개, 참다래 10개, 버섯 69개, 딸기 15개의 신품종을 개발해 보급했다.
딸기의 경우 ‘설향’ ‘매향’ 등의 우수 품종을 개발, 보급해 국산 품종 보급률을 크게 높였다. 딸기 국산 품종 보급률은 2007년 34.6%에 지나지 않았지만 지난해는 86.1%로 높아졌다. 장미와 국화도 2007년 국산 품종 보급률이 각각 4.4%와 4.5% 수준이었으나 지난해는 29%와 27.9%로 6배가량 높아졌다. 참다래도 2007년 4%이던 국산 품종 보급률이 지난해는 20.7%로 향상됐다.
특히 국내에서 개발한 신품종이 외국에 수출돼 로열티를 받는 작물도 늘어나고 있다. 농진청이 개발한 장미 신품종은 화훼 종주국인 네덜란드에 3억 2300만원의 로열티를 받고 수출되는 성과를 거뒀다. 농진청이 개발한 키위 품종 제시골드와 한라골드는 매출액의 5%를 로열티로 받는 조건으로 중국에 수출됐다. 2018년 이후 150t의 키위가 생산되면 매년 5200만원의 로열티를 받게 된다.
또 농진청이 국외 적응성 시험을 하고 있는 신품종도 많아 앞으로 로열티 수입은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실제로 미국 등 6개국에서 14개 작물 52건에 대해 품종보호권을 출원했고 유럽 등 2개국에서 4건의 품종보호권을 등록했다. 또 일본 등 4개국에서 장미, 포인세티아, 국화 등 3작물 24품종에 대해 국외 적응성 시험 재배를 하고 있다.
농진청 관계자는 “원예작물 신품종 육성과 보급은 성과가 나오기까지 오랜 기간이 소요되고 연구 기반이 열악해 민간기업에서는 투자를 기피하는 분야”라면서 “국내 원예산업 육성과 종자 주권 확보를 위해 국가적인 차원에서 투자를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전주 임송학 기자 shlim@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