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주시, 금성산 사방댐에 가둬 풀장 공급하는 방식…물 확보 근본 대책 필요
전남 나주시가 금성산 생태물놀이장을 개장한 지 10일 만에 문을 닫기로 해 빈축을 사고 있다.계곡에서 흐르는 물을 가둬 사용하는 만큼 비가 내리지 않는 한 올해는 더 이용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나주시는 갈수기 수량 부족으로 3일부터 임시휴장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지난달 24일 개장한 지 딱 10일 만이다.
나주시는 7월 강수량이 156mm로 지난해 같은 기간 326mm의 겨우 절반에 불과해 부득이 폐장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지난 2009년 이 물놀이장은 총 2천여㎡ 규모로 원래 시설 목적은 사방댐 부대시설이다.
산 정상에서 내려오는 물을 사방댐에 가둬 풀장에 공급하는 형태여서 가뭄에는 속수무책이다.
사방댐에 가둘 수 있는 수량은 2천200여t에 불과한데다 물놀이장에는 하루에 1천여t의 물이 필요한 만큼 계곡물이 계속 흐르지 않으면 이틀이면 바닥이다.
특히 나주시는 개장을 앞두고 ‘물놀이장을 찾는 인파로 주변지역 치킨과 피자 등의 배달업체 매출 증가 등 지역경제에도 활력소가 되고 있다’며 대대적인 홍보까지 했으나 폐장으로 머쓱해졌다.
이에따라 오래전부터 상수도 연결이나 대형 관정 개발 등 물을 상시 공급받을 수 있는 대책마련의 필요성이 제기됐었다.
이모(45. 광주시 서구)씨는 “물놀이장에 물이 없어 문을 닫는 어이없는 일이 반복되고 있다. 하늘만 쳐다보고 운영하는 물놀이장이 어디 있느냐”며 “근시안적 행정의 결과가 아닌가 싶다”고 꼬집었다.
물놀이장을 찾은 강인규 나주시장도 “계곡물로는 갈수기 때 이용이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며 “보완책을 마련하라”고 지시했다.
나주시는 인근 다보사에서 상수도 관로를 연결, 물을 공급하는 방안을 강구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무료로 운영되는 이 물놀이장은 소문을 타면서 하루에 평균 700여 명이 다녀가고 있으며 매년 1만 5천여 명이 찾고 있다.
연합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