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학농민혁명 국가기념일 제정이 관련 단체와 자치단체 간 이견으로 12년째 제자리걸음만 하고 있다.
13일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에 따르면 동학농민혁명 기념일 제정 논의는 2004년 시작했다. 동학혁명이 일어난 지 110년 만에 ‘동학농민혁명 참여자 등의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이 국회를 통과해 국가기념일로 제정할 수 있게 된 데 따른 것이다.
12년이 지났지만 전북 전주시·정읍시·고창군·부안군과 충남 논산군의 의견이 달라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정부는 지자체 반발을 의식, 합의만 강조한다. 최근에도 동학기념재단이 지난 5일 고창군, 6일 정읍시, 12일 부안군을 방문해 전주화약일(6월 11일)을 기념일로 제정하는 방안을 놓고 간담회를 열었지만 합의안 도출에 실패했다. 고창군만 유보적 입장이고 정읍시와 부안군은 명분도 없고, 그동안 나오지 않았던 날이라며 반대의 뜻을 밝혔다. 전주화약일은 지난해 재단이 유족회, 천도교, 학계 등으로 추진위를 결성해 의견을 모은 날이다. 관련 단체 30개 가운데 26개가 찬성했고 3개 단체만 반대했다. 관련 광역·기초 지자체 33곳도 29곳이 의견 없음, 3곳 반대, 1곳 찬성을 보였다. 찬성은 전주시, 반대는 정읍·고창·부안 등이었다.
기념일 제정은 2004년 당시 30여개 동학 관련 단체와 유족회 등이 참여해 고창 무장 기포일(4월 25일)로 의견이 압축됐다. 혁명군으로서 모습을 갖춘 최초의 사건이라는 데 의미를 부여했다. 그러나 48년 동안 동학농민혁명 선양사업을 펼친 정읍시 반대로 기념일 제정에 실패했다. 정읍시는 황토현 전승일(5월 11일)로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후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은 2008년까지 여러 차례 기념일 제정을 논의했으나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전주 임송학 기자 shlim@seoul.co.kr
2015-08-14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