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특허청에 따르면 디자인 분야에서 삼성전자가 1위(836건), LG전자가 3위(307건)를 기록했다. 삼성전자는 지난 3년간 1위를 지켰다. 마이크로소프트(329건) 2위, 나이키(229건) 4위, 애플(190건) 5위였다. 미국은 한국과 달리 디자인을 특허로 분류한다. 상표 분야에선 LG전자가 3위(156건), 삼성전자가 5위(143건)를 차지했다. 마텔(426건) 1위, 디즈니 엔터프라이즈(186건) 2위, 프록터앤드갬블(146건) 4위 순이다. LG전자는 2011년 5위에서 2012년 3위, 2013년 2위로 올라서는 등 꾸준히 상승세를 뽐내며 ‘톱 5’를 유지하고 있다. 2011년 37위, 2012년 32위, 2013년 34위를 기록한 삼성전자가 지난해 등록건수에서 전년 대비 2.8배 증가세를 기록하며 상표 출원에 적극 나서고 있다.
한국 기업의 미국 내 상표·디자인 등록 증가는 삼성·애플 사이의 지재권 소송과 아이패드 상표분쟁 등을 보며 막대한 비용·시간을 들여야 하는 사후대응에서 벗어나 사전예방 차원에서 지재권을 선점하는 공격적 전략으로 전환하기 때문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지재권 분야 연구개발(R&D) 투자 확대의 결과로도 풀이된다.
특허청 관계자는 “세계 최대 특허시장이자 분쟁 국가이기도 한 미국의 제도 및 동향에 대한 정보 등 해외 진출 기업의 지재권 보호를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
대전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2015-09-30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