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크 바닥 등 다리 구조물 파손 긴급 보수 안전사고 미리 막아
갑자기 들이닥치는 위험엔 상처가 깊기 마련이다. 대비할 수 없어서다. 무심코 걷는 길, 작은 허점에도 큰일을 당할 수 있다.|
|
경기 광주시청에서 스포츠센터로 건너가는 다리에는 마감재(나무)가 쪼개져 있었다. 시청 민원인 등 이용자가 많은 곳이다. 살짝 금 간 상태여서 얼른 눈에 띄지 않아 얼떨결에 대형 사고를 빚을 수 있었다. 한 시민이 안전신문고에 조치를 요청했다. 안전처에서 연락을 받은 광주시는 총무국 회계과에 지시해 감쪽같이 수리를 마쳤다(오른쪽). 당연히 재발하지 않도록 점검을 게을리하지 않겠다는 약속도 덧붙였다.
부산시 기장군에선 정관면 모전공원 가로등 옆에 만든 데크 바닥이 파손돼 긴장을 불러일으켰다. 행인들의 무게를 이기지 못해서인지 제법 길쭉하게 푹 꺼진 상태였다. 찾아내기에 그리 어렵지 않을 듯해 신고 정신이 아쉬운 대목이다. 바로 옆에 난간이 있어서 더욱 위험해 보였다. 그러나 다행히도 역시 안전처 안전신문고 담당자에게 연락을 받은 기장군 산림과 공원팀에서 사업 시행자를 보내 사흘 만에 말끔하게 새로 단장했다.
안전처 관계자는 “크든 작든 갖가지 재난이 돌발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여기기 일쑤지만 미리 징후를 살펴볼 수 있다”며 “이러한 신고 사례들은 대규모 사고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송한수 기자 onekor@seoul.co.kr
2015-11-05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