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간 100여건 사고… 위험성 평가 등 실시
공단에 따르면 대학이나 연구기관, 기업연구소 등 국내 연구실 4000여곳에서 발생하는 크고 작은 안전사고는 연간 100여건에 이른다. 지난 3월 서울의 한 대학교에서 전기 합선으로 인한 스파크가 발생해 실험 중이던 연구원이 각막에 손상을 입는 사고가 발생했다. 또 4월에는 의약품을 개발하는 기업연구소에서 실험도구를 청소하던 연구원이 날카로운 실험도구를 인지하지 못해 손가락이 절단되기도 했다.
이처럼 연구실에서 발생하는 안전사고는 2012년 108건에서 2013년 112건, 2014년 175건으로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다. 사고로 인해 다친 사람도 2012년 101명, 2013년 128명, 2014년 196명이다. 올해의 경우 지난 7월 기준으로 100건의 연구실 안전사고가 발생했고 이로 인해 102명이 상해를 입은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인화성 물질이나 유해 화학물질을 취급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화재 및 폭발, 화학물질 누출로 인한 사고 등은 대규모 인명 피해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공단은 미래부와 함께 ▲기업 부설 연구소에 대한 합동 지도 및 점검 ▲연구실 유형별 안전관리 표준화 모델 개발 ▲연구실 사고 발생 시 협력체계 구축 ▲연구실 사고에 대한 조사기법 공유 ▲안전관리 우수연구실 인증 제도 운영 등에 나서기로 했다. 이영순 공단 이사장은 “위험성 평가 등 사고예방기술과 안전보건교육을 적극 지원해 연구실 재해 예방 기반을 조성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홍인기 기자 ikik@seoul.co.kr
2015-11-10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