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사용액도 年 8조원 넘어
15일 보건의료 분야 연구공동체인 시민건강증진연구소의 ‘건강검진은 어떻게 산업이 되었나’라는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국가와 개인, 민간기업·단체에서 지불한 건강검진 비용과 이로 인한 추가 검진 및 치료 비용으로 한 해 최소 8조원이 쓰인 것으로 추산됐다. 연구소는 국내 건강검진의 전체 경제적 규모를 가늠하기 위해 2012~15년 병원별 건강검진 수익 등 각종 자료를 활용해 이를 산출했다.
우선 신생아·영유아 검진, 일반검진, 생애 전환기 검진, 암검진, 노인건강검진, 학생건강검진 등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를 비롯해 국가 차원에서 이뤄지는 건강검진 관련 비용은 1조 924억원 정도로 집계됐다. 또 국민이 본인 부담으로 받는 종합건강검진이나 국가 차원의 건강검진을 받으면서 추가로 이뤄지는 검사 등에 지불된 비용이 1조 1387억원으로 조사됐다.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종합검진, 대형병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정밀검진 등은 비용이 수십만원에서 많게는 수백만원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민간기업이나 단체 등에서 직원들에 대한 복리후생 차원에서 실시하는 건강검진 비용은 연간 최대 1조 6814억원에 달했다.
이처럼 국가와 개인, 민간기업·단체에서 건강검진 자체에만 지불한 비용이 모두 3조 9000억여원이었다. 여기에 국민보건의료 실태조사 등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건강검진 이후 정밀검사나 치료 등에 쓰인 돈이 4조 6000억~14조 6000억원으로 조사됐다.
아울러 우리나라 국민은 일생 동안(수명이 80세인 경우) 영유아검진 10회, 학생검진 8회, 일반검진 1~2년에 1회, 5대 암검진 등 국가 시행 건강검진만 30회 정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홍인기 기자 ikik@seoul.co.kr
2015-11-16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