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원, 게임 등으로 실외 활동 부족
우리나라 3~9세 어린이의 바깥 활동 시간이 미국 어린이의 30% 수준으로 나타났다. 학원에 다니거나 TV·게임을 즐기는 어린이가 많고 활동공간 부족 등도 원인으로 분석된다.조사 결과 우리나라 3∼9세 어린이의 평일 실외 활동시간은 일 평균 34분으로 미국(119분)과 캐나다(100분)의 29~34% 수준에 불과했다. 7∼9세 어린이의 실외 활동시간(이동시간 52분은 제외)은 36분에 불과했지만 학교 외 학습시간과 TV 시청이 각각 1시간을 넘었다. 컴퓨터게임 및 인터넷 검색 시간도 34분에 달했다. 밖에서 활동하기보다 실내에서 TV나 컴퓨터게임을 즐기는 것이다.
하루 동안 마시는 공기의 양인 호흡률은 우리나라 어린이가 미국보다 낮았다. 호흡률은 호흡기로 유입되는 유해물질의 노출량을 평가할 때 활용된다. 5∼6세의 경우 우리나라는 평균 10.8㎥/일 인데 비해 일본은 9.9㎥, 미국은 12.16㎥으로 조사됐다.
2세 이하 어린이의 손 빨기는 1시간당 3.9회, 물건 빨기는 4.4회였다. 빨기 행동의 지속 시간은 시간당 6분에서 8분 30초로 미국 어린이(11분)보다 다소 짧았다. 어린이가 손이나 물건을 빨 경우 부모나 교사들이 적극적으로 제지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우리나라 1∼2세 어린이는 하루에 곡류 23.5g, 채소 7.8g, 과일류 10.9g, 육류 1.9g을 섭취했다. 미국 어린이와 비교해 곡류와 과일류는 각각 3.7배, 1.8배 높았고 육류는 46% 수준이다.
김필제 위해성평가연구과장은 “국내 자료를 바탕으로 노출계수를 표준화해 외국자료의 불확실성을 줄였다”면서 “생활 환경 안전 대책 수립 등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세종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