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등 선호할 것’ 통념과 달라…취업후 희망임금 178만6000원
청년 구직자의 대부분은 거주지에서 가까운 곳의 직장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 구직자들이 거주지에 상관없이 서울과 수도권에 있는 일자리를 선호할 것이라는 통념과 다른 결과이다.한국고용정보원은 지난해 취업정보사이트 ‘워크넷’을 이용해 15~29세 구직자 53만 3392명의 희망 근무지와 의중임금을 분석한 결과를 5일 발표했다. 의중임금은 구직자가 취업 후 받고 싶어하는 희망임금을 의미한다.
분석 결과 청년 구직자의 거주지와 희망 근무지가 일치하는 비율은 74.8%에 달했다. 이는 현재 사는 곳을 떠나 서울 등 대도시에 있는 직장에 다니려면 주거비 등 추가적인 생활비를 부담해야 하기 때문으로 추정됐다.
청년 구직자들의 희망 근무지와 의중임금을 분석한 결과를 보면 이 같은 추정이 힘을 얻는다. 거주지와 희망 근무지가 동일한 청년 구직자들의 월평균 의중임금은 171만 8000원이었다. 반면 거주지와 희망근무지가 다른 구직자들의 의중임금은 198만 8000원으로 훨씬 높았다.
양지윤 고용정보원 연구위원은 “청년 구직자에게 일자리 정보를 줄 때는 해당 청년이 사는 곳의 일자리 정보와 지역 평균 의중임금 정보를 동시에 줘야 한다는 점이 확인됐다”며 “공공고용서비스도 거주지를 고려한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전략을 적극 실천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2016-07-06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