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硏 ‘기업성과 영향력’ 분석
비제조업서 고령화 부정영향 커… 직무중심 인사땐 매출감소 완화올해부터 정년 60세가 의무화된 가운데 근로자 고령화가 심해질수록 기업의 생산성이 약화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하지만 직무분석을 활용해 각 분야에 적합한 인력을 배치하는 ‘직무중심 인사관리’를 할 경우 생산성 감소를 막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한국노동연구원의 ‘직무분석을 활용한 직무중심 인사관리와 고령화가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45세 이상 근로자 비율인 고령화 비율이 1% 증가할 때마다 1인당 매출액은 134만원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고령화 비율이 10% 이상 증가하면 매출 감소액이 1000만원을 넘게 된다. 제조업은 고령화 비율이 1% 증가할 때 111만원, 비제조업은 149만원 감소해 고령화의 부정적 영향이 비제조업에서 더 심각한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직무중심 인사관리를 하면 매출 감소를 다소 완화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중심 인사관리는 나이나 근속과 같은 요소를 가능한 한 배제하고 직무의 난이도와 중요도를 고려해 적합한 인력을 배치하는 방식이다. 이를 위해서는 직무를 명확하게 정의하고, 자격요건을 상세히 기술한 인사기준이 필요하다.
유규창 한양대 경영학부 교수는 “직무중심 인사관리의 경우 고령화 정도가 높은 기업에서 훨씬 큰 효과를 본다”며 “한국 기업에 직무분석을 활용한 직무중심 인사관리를 서둘러 적용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2016-07-28 1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