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각선 태백산 상징성 의식한 공원공단 ‘애국적 발상’ 지적
당국 “단순 수종갱신 벌채 불허”|
|
8일 산림청에 따르면 태백산국립공원은 전체 면적의 88.6%인 6209㏊가 국유림이다. 국유림 가운데 12.5%인 778㏊에 낙엽송이 심어져 있는데, 대략 70만 그루 이상으로 추산된다. 국유림의 낙엽송은 1960~1980년대에 식재됐다. 그중에서도 면적이 가장 크고 조림 시기가 빠른 태백 지역(724㏊)은 ㏊당 나무 부피(재적)가 206㎥로 전국 평균(142㎥)을 상회해 목재 자원으로서 가치가 높다.
생태·생리·수목·환경 등에 대한 논란을 차치하더라도 벌채는 제도적으로 가능하지 않다. 공원 내 낙엽송 임지는 국유림경영계획상 솎아베기 대상으로 대규모 벌채를 할 수 없다. 나무를 잘라 이용할 수 있는 벌기령(국유림 50년)에 도달했더라도 생태·경관적 측면과 친환경 기준에 따라 벌채를 진행하는데, 구역당 면적은 최대 20㏊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이 2017년부터 2021년까지 5년간 45억원을 들여 전량 벌채한다는 것은 실현 불가능한 계획으로, 태백산국유림관리소 관리 구역을 벌채하는 데만 최소 36년이 필요하다.
앞서 환경부는 태백산국립공원 지정에 앞서 자연자원조사와 인공림인 일본잎갈나무 수종갱신 등 생태복원사업을 단계적으로 실시한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하지만 100년 전 국내에 반입돼 토착화됐고 위해성도 없으며 더욱이 목재 가치 및 활용도가 높은 낙엽송을 전부 벌채한다는 계획은 설득력이 떨어진다. 국립공원에 맞지 않는 지역을 마구잡이로 편입시킨 것 자체에 대한 지적도 있다. 낙엽송 분포 지역 중 515㏊가 신규 편입됐다.
대전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2016-09-09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