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날 업무보고를 받은 김 의원은 “경기 프리미엄버스의 경우 기존 투입예산이 도비50%, 시·군비 50%였으나 2021년부터 도비가 30%로 급격하게 변동하여 시·군의 입장으로서는 부담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며 “이를 완화하기 위한 분담률 조정을 검토해주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 도내 광역버스 버스 정차 정류소의 경우 광역버스 환승정류소가 있는 상태에서, 주거지가 새로 생겨 정류소와의 거리로 인해 도민의 불편을 초래하는 곳이 있음을 지적하며 “도내 광역버스 정차 정류소의 실태조사를 실시한 후 이에 대한 대안을 마련해줄 것”을 요청했다.
이에 경기도 교통국은 “해당 부분에 대해서는 면밀하게 확인해보게겠다”고 답했다.
이어 “공영주차장사업일 경우 10억 한도를 없애는 조례를 개정했지만 여전히 10억 한도 예산이 책정되고 있고, 학교의 무료개방 사업일 경우 예산이 들어가고 있는데, 학교 시설관리 주체가 교장선생님이라 안전문제, 지역과의 소통의 문제가 드러나고 있다”며 “도 및 시·군 협의회가 생겨서 주차장 관련 정기모임을 하듯이 교육청, 지원청하의 교장협의회를 구성하는 것을 검토해볼 것”을 적극 요청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