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업 첫날이라 진료여부 전화로 문의하고 내원“
정부의 의과대학 정원 확대 등 정책에 반대하는 의사들이 사흘간 집단휴진에 들어간 파업 첫날인 26일. 경기 안양시 ‘범계 문화의 거리’ 상가에 있는 병원들 대부분 정상진료 중이라 파업 분위기는 전혀 찾아 볼 수 없었다.내과, 가정의학과. 산부인과. 피부과. 치과 등 20여곳을 둘러보았으니 휴진을 한 병원을 찾긴 어려웠다. 다행이 큰 혼란은 없었다. 파업인 줄도 모르고 병원을 찾는 환자들도 있었다. 병원 대부분 진료를 위해 내원한 환자들이 5명에서 많게는 10명이 넘게 진료 순서를 기다리고 있었다.
병원 안내를 담당하는 한 관계자는 “파업 첫날이라 진료 여부를 묻은 전화가 평소보다 많았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한 내과를 찾은 60대 부부는 “전화를 걸어 진료를 확인한 후 병원을 찾았다“면서 정부·여당이 신설을 추진 중인 공공보건의료대학 입학생 선발에 시민단체가 관여하게 될 것이라는 복지부 발표에 대해 강한 비난을 쏟아냈다.
병원이 집단휴진에 들어간 첫날인지 모르고 병원을 찾은 50대 여성은 “상가 3층에 있는 여러 병원이 모두 진료를 하고 있어 파업인 줄 전혀 몰랐다”고 말했다. 병원이 몰려 있는 상가 건물 1층에 있는 한 약국 여약사도 “환자들이 평소와 다름 없이 처방전을 들고 약국을 찾아 약을 조재해 가고 있다”며 “주변에 휴진한 병원이 있다는 이야기는 아직 듣지 못했다”고 말했다.
안양시의사회 한 관계자는 “현재 대학병원 등 400곳의 회원사가 있지만 휴진 여부를 파악하진 않고 있다”고 밝혔다. 정부는 26일 의료계 총파업에 대해 ‘업무개시 명령’을 내린 상태다. 개별적 업무개시 명령을 이행하지 않으면 형사처벌, 행정처분 등의 조치가 가능하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