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고소득층 자녀 비율 62.6%
|
서울대 |
분석자료에 따르면 부모의 경제력 격차에 따른 대학교육 격차가 더 커지는 ‘고소득층 자녀 쏠림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가장학금 신청자 중 서울대는 고소득층 자녀 비율이 62.6%로 저소득층 자녀 비율(18.5%) 보다 약 3.4배가 높았다. 서울대·고려대·연세대 등 소위 ‘SKY’로 불리는 대학은 고소득층 자녀 비율이 56.6%로 저소득층 자녀(21.5%) 보다 2.6배 더 높았다. 서울 주요 15개 대학은 고소득층 자녀 비율이 51.2%로 저소득층 자녀(23.9%) 보다 2.1배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반해 4년제 대학 전체의 경우에는 고소득층 자녀 비율이 39.5%로 가장 높았지만, 저소득층자녀 30.1%, 중위소득계층 자녀 27.3%로 나타나, 서열 상위대학에 비해 그 격차는 상대적으로 크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고소득층 자녀에게 대학교육의 기회가 더 많이 주어지는 현실을 보여주고 있다. 뿐만 아니라 대학서열이 높게 인식되는 대학일수록 고소득층 자녀 비율이 더 높아지고 대학교육 격차는 더욱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강 의원은 “이런 대학교육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사회배려대상자 선발 10%이상 의무화’ 등 사회배려 대상자 선발 확대 등 교육 불평등 해소 위한 법 개정과 제도개선을 적극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남상인 기자 sanginn@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