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의회 제공 |
이 의원은 경기도융합과학교육원이 그간 진행해오던 꿈나무과학교실의 천체관측교실 프로그램을 올해 코로나19로 인해 가정 단위로 택배 발송하여 온라인을 통해 참여할 수 있도록 초·중생 310명을 대상으로 시행한‘실험꾸러미’와 ‘천체관측꾸러미’프로그램의 피드백 방법과 효과성에 대해 질의했다.
이에 경기도융합과학교육원장은 “과학실험은 대면수업이 가장 효과가 크나 가정에서 학부모와 함께 유튜브 방송을 통해 실험을 체험할 수 있도록 2개의 실험 세트를 발송해 실시간 쌍방향 통행이 가능한 줌 수업을 통해 나름대로 효과를 거둘 수 있었다”고 답했다. 특히, 과학교육원과 먼 거리 학생들의 참여가 어려웠던 기존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었던 점을 온라인 실험 수업의 장점으로 꼽았다.
이 의원은 실험꾸러미의 경우 학부모들의 참여나 지도가 어려운 가정의 학생들에게는 부담이 되는 측면도 있는데 이는 어떻게 극복했는지, 추가로 학습 도우미등을 배치했는지 등을 질의한 뒤 “온라인 과학 실험의 효과가 입증된다면 포스트 코로나 이후 일부 원거리 학생들을 대상으로 이 수업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방안도 모색해 줄 것”을 주문했다.
또한 이 의원은 교사들의 온라인 직무 연수 시행의 어려움 등을 질의하며 대면연수와 비대면연수 등의 블렌디드 연수를 통해 고경력 교사들도 원격수업에 적합화된 인력으로 교육해 줄 것을 요청하였다. 그 과정에서 현장의 필요와 의견을 충분히 반영해 수요자들을 만족시키는 교육 프로그램과 진행방식 등을 채택해 달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