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2020년 1월 서울혁신파크에 서울시립대학교 제2캠퍼스인 ‘은평혁신캠퍼스’ 조성 계획 발표에서 서울시립대 본교의 자유융합대학 교양교육부 일부를 이전하고 혁신인재 교육과정을 추가한 ‘교양대학’을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당시 서울시는 은평혁신캠퍼스 건립으로 동대문 본 캠퍼스의 공간 부족과 낮은 접근성 등 문제점을 해소하겠다고 목표를 제시했지만, 학생 수 대비 보유면적과 교지확보율을 분석한 결과 “통계수치 상으로는 면적이 넓은 것 같지만 도시계획상 건표율과 층고제한 때문에 공간은 부족한 실정”이라고 답변했으나, 층고 제한이 완화된 만큼 노후화된 건물의 리모델링도 가능한데 부족한 공간을 은평캠퍼스 신설로 확보해야 하는지 설득력이 부족한 상황이다.
김 의원은 “강·남북 균형발전을 목표로 서울시립대 은평캠퍼스 건립을 추진하고 있지만, 정원이 고작 8천 6백 여명인 시립대에서 학생과 교직원 2천 여명이 교양수업을 듣기 위해 동대문구 본 캠퍼스와 은평캠퍼스로 왕복하는 것이 균형발전에 얼마나 도움이 될지 의문”이라고 꼬집었다.
또한, 김 의원은 시립대 학생들이 주로 이용하는 커뮤니티에서 “계획 대로 은평혁신캠퍼스에 교양학부가 조성 될 경우 캠퍼스 간 왕복 2~3시간이 소요되고 전공수업과 교양수업의 시간표를 짜기 힘들어 수업권 침해가 우려”되고 또한 “학생들이 모이기 힘들어 학과와 동아리 활동이 위축된다” 등의 의견을 모아 서순탁 시립대 총장에게 질의했다.
끝으로 김 의원은 “주변 시설과의 연계성과 효과성을 종합적으로 점검해 실효성 있는 계획이 수립될 수 있도록 원점에서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