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사 기간도. 도급액도 두 배 이상 증가
“설계-공사 시점 간 공백 큼에도 보완없이 공사계약 맺어 예산 낭비 불러”
|
이상욱 서울시의원 |
서울 서부 한강 교량의 교통량을 분산시킬 목적으로 계획된 월드컵대교는 2006년 설계를 마치고, 2010년 3월부터 2015년 8월까지 5년여 간 공사를 거쳐 완공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공사는 12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진행 중이며, 2024년 2월 준공을 예상하지만 실제 준공 시기는 더 미뤄질 수 있다.
또한 공사 기간만 늘어난 것이 아니다. 공사비 중 시공사 도급액도 당초 1,585억원에서 3,263억원으로 1,678억원이 늘어나 증액분이 커진 꼴이 됐다. 공사 기간도, 예산도 두 배 이상 늘어났다. 그러는동안 총괄 15회, 종합적으로는 299건에 달하는 설계 변경이 이뤄졌다.
이에 이 의원은 “이같은 사례는 유별나다. 사업 계획 변경, 물가 변동 반영, 증액 요구, 여건 변동 등을 이유로 수도 없이 증액됐던 것도 문제인데다, 예산 절감을 이유로 공법 변경을 시도했다가 시공사 특혜 의혹으로 소송까지 일어났다”며 도시기반시설본부가 예산 낭비 사태를 불렀다고 일침을 가했다.
더불어 “설계 시점과 공사 착공 시점 간 공백이 큼에도 불구하고 설계 보완 없이 공사 계약을 맺어 예산 낭비를 불렀다”며 공사 계약 전 현장 여건변동 사항을 반영하지 못한 실책을 질타했다.
이어 “공사 기간이 늘어났다고 해서 공기단축 등을 이유로 안전에 소홀해서는 안된다. 기약없이 공사가 진행되는 중 노동자가 사망하는 사고까지 일어났다. 근로 환경을 개선하고 안전 사고 발생을 줄이는 데 힘써야 한다. 법에 있는 편의시설 의무 규정을 준수하지 않는 건설현장에는 과태료 부과도 적극 이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