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조잔디 신규 조성 학교 47곳 중 20곳은 교내 운동부 미보유
인조잔디 신규 조성 불가 및 개보수 지원 예산 제한 방침 전면 재검토 필요
|
고광민 서울시의원, 교육위원회 행정사무감사 질의 사진 |
현재 교육위원회 부위원장직을 맡고 있는 고광민 서울시의원(국민의힘·서초구3)은 지난 10일 개최된 제315회 서울시의회 정례회 교육위원회 행정사무감사 자리에서 서울시교육청 교육행정국장을 상대로 유해성을 이유로 신규 설치가 중단된 인조잔디 운동장이 최근 3년간 서울 관내 학교 총 47곳에 신규 조성됐다고 지적하고, 교육청이 학내 인조잔디 운동장 설치 및 개보수 지원 허용에 있어 고무줄 잣대를 적용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서울시교육청은 지난 2013년 발암물질, 중금속 노출 등 인조잔디 운동장에 대한 유해성 논란이 제기되자 인조잔디 운동장 신규 조성 중단 방침을 세운 바 있다.
이후 2019년도 들어 구조적으로 친환경 운동장으로 교체가 불가능한 학교 및 운동부를 보유한 학교에 한해서는 인조잔디 운동장 개보수에 필요한 예산을 지원하겠다는 방침을 표방했고, 그 외 학교에 대해서는 친환경 마사토 운동장으로 전환을 권장하며 여전히 인조잔디 운동장 신규 설치는 지양하겠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이날 고 의원은 “그동안 서울시교육청은 시의회로부터 인조잔디 운동장 설치 및 개보수 요청을 받게 될 때마다 발암물질 노출 우려 등 유해성을 이유로 인조잔디 운동장 신규 설치 및 개보수 요청을 거부해왔지만, 2020년 이후 무려 47곳에 학교에 인조잔디 운동장이 새롭게 조성된 것으로 밝혀졌다”고 지적했다.
이에 서울시교육청 교육행정국장은 “지적하신 대로 인조잔디 운동장 설치 및 개보수 예산 지원 허용과 관련하여 그동안 교육청의 잣대가 비일관적이었음을 인정한다”며, “교육청 차원에서도 자체 TF를 만들어 기존 지원 방안 재검토 및 지원 확대 방안을 검토중에 있다”고 답변했다.
마지막으로 고 의원은 “교육청이 이미 인조잔디 운동장 신규 조성 불가 방침을 천명했음에도, 정작 해당 기조와는 달리 지역 내 유력 인사 등에 의해 교내에 인조잔디가 새롭게 만들어지는 등 소위 ‘고무줄 잣대’로 운영된다면 시민들이 앞으로 뭘 믿고 교육청의 행정을 신뢰할 수 있겠으며, 우리 아이들은 어떻게 믿고 맡길 수 있겠는가”라고 질타했다. 이어 “향후 서울시교육청은 시민들이 불안해하지 않도록 일관성 있고 예측 가능한 행정을 펼쳐야 할 것이고, 인조잔디 신규 조성 불가 및 개보수 지원 예산 제한 방침 역시 전면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주문했다.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