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년도 사업 대상자 늘리기 전에 보상 사용 절차 전면 개선해야”
|
|
| 질의중인 김경 서울시의원(오른쪽) |
손목닥터9988 사업은 서울형 헬스케어시스템 구축사업의 일환으로, 일상 속 자기주도 건강관리를 지원하여 시민으로 하여금 언제나 건강을 관리할 수 있게끔 하는 사업이다. 사업 대상자에게 스마트 밴드와 앱을 제공하여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를 지원하고 서비스 참여도에 따라 포인트 혜택을 주는 것이 그 골자다.
서울시는 ‘온서울 건강온’을 이용하면서 느끼는 문제점과 개선방안 등에 대한 현장 의견을 청취하기 위해 지난 4월 25일 모니터링단(10명)을 출범했다.
그러나 온서울 건강온 모니터링단에서는 포인트를 사용하기 위한 절차가 일원화되지 않고 앱을 두 개나 더 깔아야 하는 점과 포인트를 사용할 수 있는 사용처가 제한적이라는 점 등 보상 사용에 관한 다양한 문제점이 제기됐다. 심지어는 보상으로 포인트를 받는다 해도 사용하기가 힘든 상황이 지속된다면 차라리 보상이 없는 편이 낫다는 의견도 있었다.
이에 김 의원은, “모니터링단 의견을 살펴보면, 해당 사업의 보상 방식은 실효성이 없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고 전하며, “보상을 지급했는데 사용이 복잡하고 어렵다면 차라리 보상이 없는 것이 낫다는 의견도 있는데, 보상을 설계하는 과정에서 사용자 편의를 고려하는 과정이 결여됐던 것이 아닌가”라고 질타했다.
이에 시민건강국 측은 “포인트 사용처를 추가로 확대하는 방향으로 사업 보상 절차를 시정하겠다”며, “사업 대상자들이 보상을 더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끝으로 김 의원은 “온서울 건강온 포인트 사용처를 확대하고, 사용 절차를 간편화하고, 무엇보다 실제 현장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사업자를 대상으로 홍보나 교육할 필요가 있다”고 전하며 “보상으로 제공되는 포인트의 적립과 사용 절차의 간소화 대책을 전면적으로 점검해달라”고 요구했다.
온라인뉴스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