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교육위원회 행정사무감사에서 질의중인 고광민 서울시의원 |
현재 교육위원회 부위원장직을 맡고 있는 고광민 서울시의원(국민의힘·서초구3)이 서울시교육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2017~2021) ‘서울 관내 초·중·고 급식 음식물 쓰레기 처리량 및 처리비용 현황’ 자료에 따르면 서울 관내 급식 대상 인원은 날이 갈수록 줄고 있으나, 급식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량 및 잔반 처리비용은 해마다 증가추세를 보이는 것으로 파악됐다.
문제는 학교급식 잔반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비용으로만 한해 50억이 넘는 예산이 소요되고 있으나, 학교마다 처리비용은 제각각으로 나타나고 있다는 점이다. 2017년의 경우 급식 음식물 처리에 약 44억원이 소요된 것으로 집계됐으나 지난해의 경우 2017년에 비해 급식 대상 인원은 약 32.2%가 감소된 반면, 음식물 처리에는 약 51억원이 사용된 것으로 확인됐다.
한편, 서울시교육청에 따르면 현재 학교급식 음식물 쓰레기 처리 업무의 경우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식, 음식물 쓰레기 처리담당 업체와의 계약 내용 등을 전적으로 개별학교들의 자체 판단에 맡기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그러나 교육청이 제출한 자료를 보면 음식물 쓰레기 발생량이 비슷한 학교들 간에도 학교마다 처리비용은 천차만별인 것으로 파악되는 등 음식물 쓰레기 처리비용 지출에 있어 예산낭비 소지가 다분한 것으로 보여진다고 고 의원은 지적했다.
실제로 고 의원은 지난 8일 개최된 제315회 서울시의회 정례회 교육위원회 행정사무감사 자리에서 학교급식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서울시교육청 학교보건진흥원장을 상대로 “학령인구 감소에 따라 급식 대상 인원은 점차 줄고 있지만, 이와 거꾸로 급식 음식물 쓰레기 처리비용은 해마다 늘고 있는 상황”이라며 “물가 인상 요인도 있겠으나, 보다 근본적인 원인은 음식물쓰레기 처리 문제를 단위 학교가 알아서 해결하도록 방치하고 정작 교육청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 관리 문제에 있어 나몰라라 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서울시교육청 학교보건진흥원장은 “급식 음식물 쓰레기 처리비용 문제는 매년 지적되는 사안이지만 해결책을 찾기가 쉽지 않은 문제”라며, “교육청도 급식 음식물 쓰레기 처리비용 절감을 위해 여러가지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고 답변했다.
마지막으로 고 의원은 “급식 음식물 쓰레기 처리 비용 문제에 대해 매년 지적받았음에도 아직까지 해결방안을 마련하지 못해 올해 또다시 지적받은 것이 자랑인가. 교육청은 부끄러운 줄 알라”고 일갈했다.
또한, “매년 학교급식 음식물 처리에만 약 50억원 가량의 아까운 혈세가 낭비되고 있는데 교육청은 학교에 돈만 내려주고 이에 대한 관리・감독에는 손을 놓고 있었다면 의회에 ‘예산 부족’을 언급할 자격조차 없다”고 질타했다.
그러면서 “향후 서울시교육청은 모든 학교에 일관되게 적용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안을 마련하는 등 예산절감을 위한 다양한 조치를 서둘러 추진해야 할 것이며, 서울 관내 전체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학교급식 만족도 조사도 실시해 학교급식의 품질을 개선하려는 노력도 병행해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온라인뉴스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