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부위원장은 2023년 현재 서울시 초·중·고등학교 242개교에 설치된 운동장 인조잔디 중 90개교가 내용연수를 초과하거나 도달했는데 아무런 조치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지적하며, 서울시교육청에 10년으로 정하고 있는 학교 운동장 인조잔디 내용연수에 대해서도 문제점을 제기했다.
또한 박 부위원장은 서울시교육청이 지난 2021년부터 최근까지 실시한 인조잔디 유해성 검사에서 모든 학교가 유해물질이 불검출됐다는 결과가 나왔음에도 유해성 논란을 이유로 인조잔디 신축과 개·보수 불허 태도를 고수하고 있고, 환경부에서 추진중인 용역 결과가 KS표준에 반영된 이후에 조치를 취하겠다는 서울시교육청의 견해를 언급하면서 학생들의 안전과 건강 관련 책임 소재에 대한 우려도 나타냈다. 박 부위원장에 따르면 서울시교육청에서 낡은 인조잔디를 철거하고 마사토 운동장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제시했지만 인조잔디 운동장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를 고려해 결정해야 한다고 피력했다.
끝으로 박 부위원장은 “단기적으로 브러쉬 작업 또는 관련 장비 지원, 먼지털이 에어건 설치 지원, 부분 개·보수 지원, 즉시 교체를 위한 설계 준비, 장기적으로는 사용빈도 등을 고려한 탄력적인 내용연수 기준 마련, 천연잔디 운동자 조성과 같은 방안을 고려해주기를 제안한다”라며 오세훈 시장도 교육청과 함께 대안을 제시해 주기를 강력하게 요구한다며 발언을 마쳤다.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