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로수 조례 내의 탄소흡수에 맞는 가로수 선정하도록 추가
식재위치도 보도, 중앙분리대뿐만 아니라 교통섬도 가로녹지 확충할 수 있도록 추가
남 의원, 가로수는 녹지확보·탄소흡수의 중요한 요소…기후변화·탄소 저감 대응 세부전략 마련 필요
기후변화에 따른 환경문제가 발생하고 시민의 생활환경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어 서울시도 다양한 대책을 마련하고 탄소중립이라는 환경정책방향이 대두되면서 다양한 정책 발굴하고 시행 중이다. 그중 직접적인 탄소흡수원이 되는 나무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도시 내 숲과 녹지의 기능이 주목받고 있지만, 아직 정책으로서 탄소흡수원 정책은 대부분 산림 위주로써 도시의 녹지 및 수목에 대해서는 많지 않은 상황이다.
남궁 의원은 가로수가 도시의 기본인프라인 도로에 식재되는 탄소흡수원이며, 시민의 생활에 가장 가깝게 접하게 되는 자연요소로서 중요한 자원임을 인식하고 그 기능을 보완하고자 했으며, 이번 일부개정은 가로수 수종 선정 시 환경오염 저감, 기후 조절 기능과 함께 탄소 흡수량이 많은 수종을 선정할 수 있도록 규정했고 기후변화 대응, 녹지 확충, 경관 향상 등을 위해 중앙분리대뿐만 아니라 교통섬에도 그늘목, 녹지대를 적극적으로 조성할 수 있도록 했다.
남궁 의원은 “가로수는 도시에서 녹지를 확보하고 탄소흡수원으로 기능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이다. 앞으로 수종에 관한 다양한 연구와 정책이 필요하며, 서울시는 가로수가 탄소흡수원으로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세부 전략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라고 조례안 통과 소감과 함께 당부의 말을 전했다.
온라인뉴스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