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말 연세로 대중교통전용지구 일시정지 기간 만료, 주민 혼란 가중 우려
일시정지 기간 동안 교통체증 완화·상권 활성화 유의미 한 결과 도출
지정 해제 위한 조건 충족에도 2024년 3월까지 추가 데이터 수집 후 운용방향 결정
서대문구 주민 30여명과 서울시 결정, 항의의 피켓 시위 진행
지난 8일 서대문구 주민 약 30여명은 서울시의회 본관 앞에서 집회를 가지며, 서울시가 연세로 대중교통전용지구 해제 여부를 애초 9월 말에서 내년 6월로 연기하기로 한 결정에 강한 항의의사를 표명했다.
지난달 30일 제320회 임시회 제3차 회의에서 정 의원은 오세훈 서울시장을 상대로 한 시정질문을 통해 서대문구 연세로 대중교통전용지구 해제를 공식적으로 요청한 바 있었다. 당시 오 시장은 정 의원의 의도에 충분히 공감하며 추후 논의를 통해 풀어갈 것을 제안했지만, 이후 결정으로 연세로는 또다시 오는 10월부터 2024년 3월까지 대중교통의 통행만을 허용해 그 변화를 살펴보는 시험에 처하게 됐다.
서울시는 서대문구가 제시한 상권매출 현황이 전용지구의 영향인지 불분명하다는 입장을 나타내며 9월 말 지구 해제를 사실상 거절했지만 정 의원과 서대문구 주민들은 이에 동의하지 않는다.
애초 서울시에서 보낸 공문에는 대중교통전용지구를 선정할 당시에 상권분석과 교통분석을 통해 상권 활성화 효과가 있고 차량 소통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대중교통전용지구를 해제할 것이라고 기재되어 있었고, 또 다른 단서가 붙지 않아 조건이 충족되면 당연히 해제될 것을 믿은 주민들은 많은 고민 끝에 시 결정을 존중했었다.
또한 자가용을 이용해 연세로를 찾은 많은 시민이 단속될 위험에 처해있어도 실제로 경찰청은 지구 일시정지를 통해 단속권한이 해제됐기 때문에 단속할 수 없다고 한다. 상주 단속인원이 배치되지 않는 한 시민들의 오해와 혼란이 가중될 우려도 있다. 이러한 혼란 속에서 만들어진 데이터가 과연 어느 정도의 신뢰성을 가질 수 있을지 의문이다. 또한 혹여라도 대중교통 통행 시 이러한 혼란을 통해 상권매출이 하락하고 통행속도가 줄어들 때, 그때는 과연 서울시는 어떠한 입장을 내놓을 것인가 되묻지 않을 수 없다.
정 의원은 “대중교통전용지구가 서울시 내 다른 지역에 후속 지정되지 않는 이유는 명확하다. 교통체증 완화와 상권활성화를 목표로 지구설정 목표에 실효적 결과를 얻지 못하기 때문이다”라고 하며 “서울시가 약속한 내용을 이행하지 않는다면 어떤 지역 주민들이 시 정책을 신뢰하고 협조할 것인지 의문이다”고 밝혔다.
정 의원은 피켓 시위에 참여한 서대문구 주민들의 마음을 충분히 이해하는 한편 연세로 대중교통지구 해제를 위해 서울시와 협의를 통해 다각적인 방법을 모색할 것을 다짐했으며, 주민들과의 약속을 즉시 이행하고 서로 상생할 수 있는 서울시의 적극적인 해법을 촉구했다.
온라인뉴스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