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의원은 “2023 교사 직무 관련 마음 건강 실태조사를 살펴보면 교사의 16%는 극단적인 선택을 생각한 적이 있다고 답했고, 4.5%는 구체적인 계획까지 세운 적이 있다고 답했다”라며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나온 일반인의 극단적인 선택에 관한 생각은 3~7%인 것에 비해 확연히 높다”라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교육청에서는 교사들에 대한 지원이 되지 않는다”라며 “교육청에서 지원하는 것은 학생과 학부모뿐”이라며 교사에 관한 관심과 지원이 부족함을 지적했다.
김 의원은 “조사결과를 보면 심한 우울증을 겪은 교사는 38.8%로 일반인의 4배 정도 된다. 이는 그냥 넘길 수 없는 일”이라며 “현재 자살예방센터와 연계해서 심신건강관리 프로그램을 받는 특수직군에는 경찰과 소방만 들어가 있다. 이젠 교사도 특수직군에 들어가야 할 때”라며 교사 처우의 개선을 주장했다.
이에 시민건강국장은 “지금껏 학교 쪽과 이야기할 땐 학생과 학부모가 중심이 되어 교사가 빠져있었던 것 같다”라며 “조사결과에 대한 수치를 들어보니 굉장히 심각하기 때문에 이 부분에 대해 교육청과 상의를 해보겠다”라고 말해 앞으로 달라질 것을 기대케 했다.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