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서울시장 UAE 출장에서 개발 계획 밝혀
일자리·교통·생활편의·공공·의료·여가·돌봄 기준
오세훈 서울시장은 지난 10일(현지시각) 아부다비의 탄소중립 스마트 시티이자 주거·산업·교육·오락 등 다기능 복합 자족도시인 마스다르 시티를 방문한 자리에서 이 같은 계획을 공개했다.
마스다르 시티는 탄소, 쓰레기, 자동차가 없는 3무(無) 도시 건설로 설계됐다. 현재 경전철(LRT) 축을 중심으로 호텔, 대학, 공공기관, 업무시설 등 주요 시설을 고밀 배치해 접근성을 높이고, 도시 외곽에 저밀 주거지역을 배치했다.
특히 도시 내에서는 어디서나 도보 250m 이내로 대중교통 이용이 가능하도록 해, 어디서든 15분 내 주요 시설들에 닿을 수 있다.
서울시도 최상위 도시계획인 ‘2040 서울도시기본계획’의 7대 목표 중 하나로 ‘보행일상권 조성’을 추진하고 있다. 보행일상권이란 도보로 수분 내에 일상생활 서비스 시설들을 누릴 수 있는 자족적인 서울형 근린생활권을 의미한다.
마스다르 시티를 둘러본 오 시장은 “전통적인 건축 양식을 현대적으로 적용한 점에서 혜안이 돋보인다”며 “일찌감치 인공지능의 중요성을 깨닫고 인공지능 센터를 만들었다는 것도 굉장히 놀랍다”고 말했다. 이날 오 시장이 발표한 매력공간지수는 ▲일자리 ▲교통 ▲생활편의 ▲공공·의료 ▲여가 ▲돌봄·학습 6가지 항목으로 평가된다. 이를 근거로 116개 지역생활권마다 항목별로 시민들에게 도시서비스를 얼마나 공급할 수 있는지에 따라 지수를 매긴다.
예를 들어 A생활권의 매력공간지수를 분석한 결과 여가와 돌봄·학습 기능이 부족하다면 문화·체육 콤플렉스, 수변거점, 데이케어센터 등을 공공사업이나 민간개발 공공기여를 통해 공급하는 것이다.
또 매력공간지수 분석 후 부족한 것으로 도출된 시설을 사업과 연계해 공급하는 시범사업을 올해 안에 추진할 계획이다. 시범사업을 통해 매력공간지수를 검증·보완하고, 공공·민간 사업을 시행할 때 도시서비스 공급의 가이드라인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아부다비 김동현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