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실국본부장회의서 기본 계획 언급하며 도 역할 당부
“24시간 운영할 관문공항 시설로는 부족…정부에 건의해야 ”
박 지사는 13일 경남도 실국본부장회의에서 “동남권 관문공항에 걸맞은 시설 및 운영체계를 위해 필요한 부분을 경남도가 정부에 적극적으로 건의해야 한다”며 정부가 발표한 ‘가덕신공항 건설사업 기본 계획’에 활주로가 1개뿐이라는 점을 언급했다. 박 지사는 “정부 가덕신공항 기본 계획에 보면 활주로가 1본인데다, 폭도 45m, 길이 3.5㎞ 정도”라며 “활주로에 문제가 생겨 폐쇄되면 가덕신공항 기능 자체가 멈추는 결과가 생긴다. 24시간 운영되어야 할 동남권 관문공항으로는 시설이 부족하다”고 분석했다.
가덕신공항건설공단은 이날 본격 가동했다.
공단은 2029년 12월 말 공항 개장을 목표로 이전까지 운영되던 가덕신공항건립추진단 업무를 단계적으로 이관받아 국제여객터미널 국제공모 업무 등을 진행한다.
박 지사가 언급한 가덕신공항 활주로 2개 확장 요구는 경남·부산 지역사회에서 지속해서 제기하는 문제다.
박 지사는 “국제공항 규모에는 최소 2본 이상의 활주로가 필요하고, 폭도 60m는 되어야 한다”며 “경남도가 여러 가지 미비한 점이나 시설 보완점에 대해서 재차 검토하고 제7차 공항개발종합계획 용역에 반영될 수 있도록 정부에 적극적으로 건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최근 도내 조선소 중대재해 사고가 빈번하다는 언론 지적이 있었다”며 “경남 주력산업은 중장비를 활용하는 산업이 많아, 인명사고 위험에 노출돼 있다. 유관기관·기업 CEO들 중지를 모아 중대재해 예방 대책을 논의해 경남도 차원의 대책을 마련하고 정부에 건의할 내용이 있다면 적극적으로 건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창원 이창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