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에서 소나무재선충병이 처음 발생한 뒤 경기도는 30일 수원 영흥수목원에서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한국임업진흥원, 수원시와 인접 시군인 용인·화성시 등 관계기관이 참여한 긴급 중앙방제대책회의를 열었다. (경기도 제공) |
수원특례시에서 소나무재선충병이 처음 발생함에 따라 경기도와 수원시 등이 30일 긴급 중앙방제대책회의를 열어, 대책을 논의했다.
경기도에 따르면 지난 26일 수원시 영통구 이의동의 한 아파트 내 소나무 1그루가 소나무재선충병에 걸린 것으로 확인됐다. 수원시에서 소나무재선충병이 발생한 건 처음이다. 도내에서 역대 소나무재선충병이 발생했던 곳은 총 22개 시군이다.
소나무재선충병은 소나무를 말라 죽게 만드는 치명적인 시듦병으로 한 번 감염되면 회복할 수 없다. 재선충은 스스로 이동할 수 없으며, 죽은 나무에 서식하던 매개충이 새로운 소나무의 어린 가지를 갉아 먹는 과정에서 나무조직에 침입해 병을 확산시키는 방식으로 전파된다.
경기도는 30일 수원 영흥수목원에서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한국임업진흥원, 수원시와 인접 시군인 용인·화성시 등 관계기관이 참여한 긴급 중앙방제대책회의를 열어 피해 발생지 반경 2km 이내 행정동을 소나무류 반출금지 구역으로 지정하고 해당 구역 내 소나무류 이동을 통제했다.
이태선 경기도 산림녹지과장은 “이번 수원시 소나무재선충병 신규 발생은 산림 내 집단발생이 아닌 아파트단지 내 조형 소나무 토막나무 발생 상황으로 초기 단계에서 철저한 예찰과 신속한 방제를 통해 재선충병의 확산과 추가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총력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안승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