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의회 건설교통위원회 문병근 부위원장(국민의힘, 수원11)은 17일(월) 열린 건설교통위원회 종합감사에서 수원 지역 똑버스 노선 운영과 경기도 도시철도 운영 주체 문제를 집중 질의하며, 주민 중심의 교통정책 추진과 경기도의 명확한 행정 책임을 촉구했다.
문 의원은 먼저 수원 아이파크시티 아파트 단지의 똑버스 노선 문제를 제기했다. 해당 단지는 단지 내 이동만으로도 성인 기준 20분 이상이 소요될 정도의 대규모 주거지로, 주민들은 15년 전부터 망포역·권선매탄역·세류역을 순환하는 마을버스 신설을 꾸준히 요구해 왔다. 그러나 수원시는 경기도 똑버스 사업 추진 과정에서 권선매탄역 단일 노선만 왕복 운행하도록 계획해 주민 요구를 반영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에 문 의원은 “주민들이 애초에 요구한 3개 역 순환 구조를 무시한 노선 계획은 현장의 교통수요를 외면한 행정 편의식 발상”이라며 “수익성보다 접근성과 효율성을 고려해야 한다”고 강하게 지적했다. 이어 “이 지역은 중첩 노선이 없어 택시업계에 미치는 영향도 미미하다”며 “경기도가 직접 현장을 확인하고, 세 역을 모두 순환하는 방식으로 재검토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에 대해 김광덕 교통국장은 “현장을 직접 방문해 수원시와 협의하겠다”며 “운행객수나 노선 효율성을 종합적으로 판단해 추가 운행 여부를 검토하겠다”고 답변했다. 그러나 문 의원은 “기존 노선 대체는 전혀 해법이 될 수 없다”며 “도민 생활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당초 순환 노선을 반드시 관철시켜 달라”고 재차 강조했다.
이어서 문 의원은 경기도 도시철도 운영주체 일관성 문제를 질의했다. 철도항만물류국의 입장이 “사업 적정성 검토에서는 반대, 운영비 단계에서는 검토로 전환되는 등 어정쩡하다”며 명확한 방향 제시를 요구했다.
문병근 의원은 이번 감사에서 “경기도의 교통정책은 도민의 이동편의와 지속가능한 운영 구조를 동시에 만족시켜야 한다”며 “똑버스 노선과 철도운영 모두 주민 의견 수렴을 전제로 한 합리적 조정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온라인뉴스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