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2년 만에 여의도공원 3배 크기 정원 조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장위2동 주민센터·도서관 첫 삽… “성북 상징 될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중랑 보건소 ‘전국 재난의료 훈련’ 최우수상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AI·로봇·ICT 스타트업 유치… 용산코어밸리,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케이(K)-푸드, 수출 역대 최대 실적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케이(K)-푸드, 수출 역대 최대 실적


 - 20259월 기준, 전년동기대비 8.9% 증가한 84.8억 달러 기록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케이(K)-푸드 글로벌 홍보 및 수출확대 기회될 듯




 


(현황) 관세청(청장 이명구)20259월 누계 기준 '케이(K)-푸드' 수출액이 전년동기대비 8.9% 증가한 84.8억 달러를 기록하며 동기간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는 케이(K)-푸드 수출이 늘어나기 시작한 2016년부터 전년도까지 9년 연속 증가한 데 이어 올해 또다시 최고치경신한 것이다.


 


 특히, 올해는 넷플릭스 시리즈 오징어게임(2021), 케이(K)-팝 아파트(2024)를 잇는 케이팝 데몬 헌터스(케데헌)의 글로벌 흥행과 지난 2005년 이후 20년 만에 경주에서 개최되는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10.3111.1)를 계기로 전세계의 시선이 우리나라로 집중되는 상황이 맞물리면서 케이(K)-푸드 대한 관심과 브랜드 인지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 최근 10년간 케이(K)-푸드 수출액 증감 추이 >


(단위: 백만달러)










 (품목별) ··수산물을 포함한 거의 모든 품목군에서 고른 상승세를 보인 가운데,


 


 특히 케이(K)-푸드 전체 수출액의 60% 이상을 차지하는 '가공식품' 전년동기대비 6.7% 증가한 52.0억 달러를 기록하며 수출 증가견인했다.


 


 '수산물''' 수출 호조 등에 힘입어 전년동기대비 11.2% 증가23.3억 달러를 기록했으며, '축산물'2.8억 달러로 50.3%의 높은 증가율을 나타냈다.


 


 ㅇ 이 밖에 '농산물''임산물'도 전년동기대비 각각 5.6%24.6%의 증가세를 보였다.


 


< 케이(K)-푸드 품목군별 수출 현황 >




구분


20241~9


20251~9


금액


 


 


금액


 


 


비중


증감률


비중


증감률


케이(K)-푸드


7,787


100.0


6.5


8,481


100.0


8.9


 


가공식품


4,871


62.6


9.7


5,198


61.3


6.7


 


농산물


620


8.0


1.6


655


7.7


5.6


 


수산물


2,092


26.9


1.7


2,326


27.4


11.2


 


임산물


15


0.2


20.4


19


0.2


24.6


 


축산물


188


2.4


13.9


283


3.3


50.3




 


 세부 품목별로는 '라면'이 전년동기대비 24.5% 증가11.3억 달러를 기록하며 맛있게 매운 케이(K)-라면의 여전한 인기를 증명했고, 글로벌 건강식품으로 자리매김한 ''14.0% 증가8.8억 달러로 수출 증가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된다.


 


   - 그 외에도 '전통 한과'를 포함한 과자류(+2.0%), 국민 입가심 필수템인 '믹스커피' 등 커피조제품(+15.8%), 발효식품으로 각광받고 있는 '고추장·된장' 등 소스류(+7.2%)와 각종 음료(+2.6%) 등 주요 품목이 전반적으로 증가하며 케이(K)-푸드글로벌 경쟁력입증했다.


 


< 주요 세부 품목별 케이(K)-푸드 수출 현황 >




구분


20241~9


20251~9


금액


 


금액


 


비중


증감률


비중


증감률


케이(K)-푸드


7,787


100.0


6.5


8,481


100.0


8.9


 


라면


904


11.6


29.6


1,125


13.3


24.5


 



774


9.9


27.3


882


10.4


14.0


 


과자류


561


7.2


15.4


572


6.7


2.0


 


음료


506


6.5


13.5


518


6.1


2.6


 


소스류


290


3.7


3.7


311


3.7


7.2


 


커피조제품


245


3.1


1.1


283


3.3


15.8


 


김치


122


1.6


2.4


126


1.5


3.2


 


아이스크림


75


1.0


2.4


93


1.1


24.2




 


(국가별) 20259월 기준 케이(K)-푸드 수출 상위 3개 국가는 미국(16.0 달러, +13.1%), 중국(15.0억 달러, +12.5%), 일본(11.6억 달러, +6.7%)으로 이들 3개국이 전체 수출의 절반(50.2%)을 차지했다.


 


< 주요 국가별 케이(K)-푸드 수출 현황 >




순위


20241~9


20251~9


국가


금액


 


 


국가


금액


 


 


비중


증감률


비중


증감률


전체


202개국


7,787


100.0


6.5


200개국


8,481


100.0


8.9


1


미국


1,415


18.2


17.2


미국


1,600


18.9


13.1


2


중국


1,332


17.1


6.3


중국


1,498


17.7


12.5


3


일본


1,089


14.0


3.1


일본


1,162


13.7


6.7


4


베트남


490


6.3


0.7


베트남


487


5.7


0.7


5


태국


297


3.8


13.4


태국


274


3.2


7.9


기타


197개국


3,164


40.6


13.8


195개국


3,460


40.8


9.4




 


 수출액 상위 10개국 중 9개국*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회원국이고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국가(한국 제외 20 회원국)로의 수출이 전체 수출액의 81.5%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들 국가를 대상으로 한 홍보와 마케팅이 향후 케이(K)-푸드의 해외시장 확대수출 증가에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미국, 중국, 일본, 베트남, 태국, 대만, 필리핀, 러시아, 홍콩




   - 특히, 정부는 이번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기간동안 29개 기관기업들을 케이(K)-푸드 공식 협찬사선정하여 치킨, 라면, 떡볶이, 순대, 한과 등 인기 먹거리를 각국 정상들은 물론 외신에도 적극 소개한다는 계획으로 글로벌 홍보 효과가 기대된다.


 


한편, 관세청도 케이(K)-컨텐츠 수출 확대를 위한 수출기업 지원 적극 동참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붙임1. 케이(K)-푸드 수출 현황


붙임2. 케이(K)-푸드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수출 현황


붙임3. 케이(K)-푸드 세부 품목 예시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Leaders Today

동대문 취약계층 도울 생필품 나눔 줄이어

삼육보건대·아드라코리아 기탁

“지역의 멋과 매력 알릴게요” 서대문 구정홍보단 2

웹툰작가, 시니어모델, 노래강사 등 주민 100명 ‘홍제폭포 복합문화센터’ 첫 공식 행사로 발대식

광진구, 구의동 46번지 일대 재개발사업 주민설명회

재개발 사업의 개념, 신속통합기획 추진절차 등

주민이 발전의 주인… 강서의 자치

주민 참여 성과 공유 자리 마련 모든 세대 복지 증진 사업 호평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