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미령 농림축산식품 장관은 11월 26일(수) 오전 충남 아산시 소재 계란유통센터(식용란선별포장업소) 및 곡교천을 방문하여 가금농장 방역관리 상황과 철새도래지 출입통제 관리 실태를 점검하였다.
이번 점검은 최근 경기도 화성시와 평택시 산란계 농장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가 발생함에 따라 인접한 충남도의 방역 추진사항을 점검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 '25/'26 동절기 고병원성 AI 발생현황 : 가금 6건, 야생조류 11건
이날 현장에서 충남도는 관내 산란계 밀집지역과 대규모 산란계 농가에 대한 방역대책 추진사항을, 아산시는 농가 차단방역 및 철새도래지 관리방안에 대해 보고하였다.
이에 대해 송미령 장관은 "충남지역은 산란계 사육두수가 많고, 산란계 밀집사육지역인 천안 용정·가송 2개소에서 과거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가 발생하면서 피해가 컸던 점을 고려하여, 이번 동절기에도 유사한 사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축사 출입 시 장화 갈아신기, 알 운반 차량의 농장 진입 금지 등 방역관리 방안을 빈틈없이 추진해 줄 것"을 강조하였다
또한, 송미령 장관은 충남도 아산시 곡교천 철새도래지를 방문하여 드론 및 광역방제기 소독시연을 점검한 후 "겨울 철새 서식조사 결과 11월에 약 133만수가 국내에 도래하여 전월(10월 63만수) 대비 111.4% 증가하였고, 국내 처음으로 야생조류에서 3개의 혈청형(H5N1, H5N6, H5N9)이 확인되는 등 과거보다 위험도가 높아 전국 어디서든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가 발생할 수 있는 엄중한 상황임을 강조하면서 철새도래지 출입통제, 소독 등 한층 강화된 방역관리가 필요하다"고 당부하였다.
아울러, 11월 25일 충남에서 최초로 발생한 아프리카돼지열병(ASF)에 대해서도 "발생농장 등에 대한 출입통제, 살처분, 일시이동중지 등 긴급행동지침에 따른 신속하고 차질없는 방역조치와 가용한 모든 인적·물적 자원을 총동원해 더 이상 추가 발생이 없도록 확산 방지에 총력을 다해달라"고 강조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