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인천지역 시민단체 등에 따르면 경인운하 재추진 여부를 논의하기 위해 건설교통부와 굴포천지역협의회 추천 6명, 환경부와 환경단체 추천 6명 등 12인으로 구성된 ‘굴포천유역지속가능발전협의회’를 이달 말까지 구성키로 했다.
경인운하 건설을 놓고 첨예하게 대립하던 주체들이 협의체를 구성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협의체의 결정이 구속력이 있는 만큼 그동안의 지루했던 논란도 매듭지어질 것으로 보인다.
건교부 등 4자 관계자는 지난달 29일 민·관이 공동참여하는 협의회를 통해 사업 여부에 대한 결론을 내리고 이를 받아들이기로 합의한 바 있다.
이에 따라 협의회는 DHV컨소시엄의 경인운하사업 타당성용역 중간 결과가 나오는 오는 8월부터 경인운하 재추진 여부에 대해 1년간 논의를 한 뒤 최종 결론을 내릴 방침이다. 재추진 쪽으로 결론이 나려면 협의회원 3분의2가 찬성해야 한다.
주민들의 모임인 굴포천지역협의회 박한욱 간사는 “협의회와 건교부에 배정된 6명을 확정한 뒤 환경부 및 환경단체과 협의회 구성을 위한 구체적인 논의에 들어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경인운하는 지난 90년 초 건설교통부에 의해 건설 방침이 발표된 이후 환경단체들에 의해 줄곧 환경파괴 문제가 제기됐다.1999년 환경영향평가가 통과하는 대로 착공할 예정이었으나 결국 환경영향평가는 4차례의 보완에도 불구하고 통과하지 못했다. 이후 노무현 대통령은 경인운하 백지화를 공약으로 내걸었고, 대통령 인수위는 백지화를 발표했다가 곧 공식입장이 아니라고 수정했다.
이어 2003년 감사원 감사에서 경인운하의 경제성이 부풀려졌고, 수질 등 환경문제 우려가 있다는 지적이 나오자 정부는 국정현안 조정회의를 열어 경인운하 재검토를 공식발표했다. 그러나 경인운하 건설 예정지 주변 주민들은 홍수방지 등을 위해 경인운하가 건설돼야 한다고 주장해 왔다.
인천 김학준기자 kimhj@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