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해찬 총리 |
이 총리는 지금까지 차기 대선에 나서겠다고 한 적이 없다. 그렇다고 나서지 않겠다고 한 적도 없다. 이날 ‘대권에 관심없다.’고 했지만 이 말이 총리에서 물러난 뒤에도 해당된다고 보기는 어렵다. 이날 발언을 계기로 여권의 잠재후보군은 보다 확대될 전망이다. 여권 일각에선 기존의 김근태 복지·정동영 통일부 장관에 이 총리가 가세한 3룡(龍)론과 김혁규 열린우리당 상임중앙위원,28일 입각한 천정배 법무부장관 등을 포함한 ‘7룡론’이 나오고 있다.
이 총리는 노무현 대통령과의 ‘일체감’도 강조했다. 논란이 되고 있는 천 법무와 이재용 환경부장관 인선에 대해 “최상의 선택으로 본다.”며 야당의 공세를 정면으로 치받았다.“이 장관은 환경전문가이고, 구청장도 훌륭하게 해낸 분”이라며 “지역안배와 전문성을 살리는 차원에서 이뤄진 인선인데 이걸 문제삼으면 특정지역의 사람은 쓰지 말고 무능한 사람을 쓰란 말이냐.”고 반문했다. 이밖에 “대통령과 여러차례 논의했고, 나도 적극 천거했다.”“요즘처럼 청와대와 총리실이 협조하던 때가 별로 없다.”“일주일에 다섯번은 청와대에 들어간다. 오늘도 간다.”는 등의 말로 최근의 당·정·청 갈등설을 불식하려 했다.
그는 그러나 최근의 부동산값 폭등과 계속되는 내수부진, 교육정책의 혼선 등에 대해서는 외부적 요인 만을 애써 강조해 정부 정책을 책임진 총리로서 지나친 책임회피, 나아가 현실부정이 아니냐는 비판도 받고 있다. 이 총리는 “올해 경제성장률 5% 달성이 어려울 듯하다.”라고 예상하면서도 그 요인으로 고유가와 원화절상, 기업의 투자부진을 꼽았을 뿐 정부 정책의 문제점은 언급하지 않았다. 부동산값 폭등에 대해서도 “일부 지역만 올랐고, 그것도 호가에 불과할 뿐 비교적 중산층 이하 서민들 주택은 굉장히 안정돼 있다.”고 말해 국민들의 정서와는 다소 거리를 보였다.
진경호기자 jade@seoul.co.kr
2005-06-30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