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제주도관광협회와 각급 여행사, 호텔, 렌터카업체 등에 따르면 지난 17일부터의 아시아나항공 조종사 파업으로 하루 200∼300명의 여행객들이 ‘제주행’을 포기하는 등 예약률이 급감하고 있다.
이로 인해 일부 팬션업체와 민박업자들은 ‘울며 겨자먹기식’으로 미리 받은 예약금을 돌려주고 있는 형편이다.
경제살리기범도민운동추진협의회(회장 강영석 제주상공회의소회장)는 조종사 파업이 장기화될 경우 지역경제에 상당한 손실을 미칠 것으로 보고 지난 19일 파업중단을 촉구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해파리 공포는 최근 해수온도 상승으로 제주도내 이호·삼양해수욕장 등에 ‘작은 부레관 해파리’ 등 아열대성 독성 해파리가 출현, 수영객들을 쏘면서 일고 있다.
해파리에 쏘여 병원으로 후송되거나 응급처치를 받은 피해자들도 20여명에 달해 북제주군의 경우 일부 해수욕장에 대한 수영금지 조치까지 검토하고 있다.
이같은 해파리 공포로 상당수 피서객들이 해수욕을 꺼리는 바람에 해수욕장내 식당이나 튜브·파라솔 대여업자들이 울상짓고 있다.
백두산·개성관광은 당장은 시범적 성격을 띨 것으로 보이나 관광업계의 사업의욕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주5일 근무시대를 맞아 주말 관광객이 서울에서 가까운 개성관광에 본격적으로 나설 경우 금강산 관광에 이어 제주관광을 가로막는 악재로 작용할 것이 뻔하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지난 봄 관광성수기때는 독도와 역사교과서 왜곡 문제로 한바탕 홍역을 치르더니 여름 피서 성수기에는 다시 조종사 파업과 해파리 공포, 개성관광 등이 우울하게 만들고 있다.”며 “도무지 일할 의욕이 나지 않을 정도”라고 말했다.
제주 김영주기자 chejukyj@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