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사고 방지에 만전을 기했다고 자부해 왔던 서울시는 사망사고에 당혹감을 감추지 못했다. 김병일 서울시 대변인은 2일 “사고 발생 지점에 강화 유리를 설치해 추락을 방지키로 했다.”면서 시민들에게 청계천 혼잡 구간 진입 자제를 당부했다.
●좁은 보행로, 낮은 차단벽
가장 시급한 문제로 떠오른 것은 추락의 위험성이다. 청계천과 보행로 사이의 철제 차단벽은 1.5m가 채 안된다. 일부 다리의 난간도 마찬가지다. 자칫 구경하다가 4∼5m아래 청계천으로 추락할 수 있다.
청계천과 인근 도로와의 사이에 있는 보행로도 폭이 1.5m로 너무 좁아 시민들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 서울시는 이 도로가 보행로가 아닌 안전통로라고 주장하지만 시민들이 이 길을 사실상 보행로로 이용하고 있어 대책이 필요하다.
청계천 진입계단도 너무 가파르고 좁아 인파가 많이 몰리면 자칫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교통사고도 복병
시민들의 안전 불감증도 문제다. 청계천은 양 옆의 2∼3차선 도로와 나란히 동쪽으로 이어진다. 일부 사람들은 이 도로를 동네골목길처럼 건너 다니고 있다.
이에 따라 교통단속을 철저히 하거나 차로와 보행로 사이에 차단 울타리를 두는 등의 보완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운전자들이 규정 속도를 지키는 것은 물론이고 보행자들의 성숙한 시민의식도 요구된다.
김기용 서재희기자 kiyong@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