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정보제공업체 닥터아파트에 따르면 3·30대책 발표 이후 5주 동안의 서울시내 구별 아파트값 상승률을 분석한 결과, 강서구·동작구·광진구·영등포구 등은 대책 발표 이전 5주 동안의 상승률보다 오히려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대책 발표 이전 5주 동안의 상승률이 4.01% 였던 강서구는 5.51%로 높아졌으며 동작구도 3.12%에서 4.83%로 올랐다.
또 광진구가 0.45%에서 2.88%로, 영등포구가 3.68%에서 4.60%로 각각 올랐다. 구로구(2.03%→2.47%), 관악구(0.97%→1.49%) 등도 오히려 상승률이 높아졌다.
하지만 3·30 대책 발표 이전 집값 상승을 주도했던 양천구(15.03%→5.60%), 강남구(9.46%→5.73%), 서초구(6.19%→4.93%), 송파구(7.26%→2.66%) 등은 낮아졌다.
서울시 전체적으로도 5.34%에서 3.63%로 떨어졌다.
다른 부동산정보업체인 부동산114가 대책발표 이전 5주와 이후 5주의 상승률을 비교한 결과에서도 마찬가지 현상이 나왔다.
강서구는 3.61%에서 4.34%로, 동작구는 3.50%에서 3.80%로 각각 높아졌으며 구로구(1.44%→2.66%), 광진구(1.70%→2.37%), 마포구(1.65%→1.81%) 등도 대책이 나온 이후 상승률이 더 높았다.
이에 비해 강남구는 7.21%에서 3.37%로 둔화됐다. 양천구가 11.09%에서 5.74%로, 송파구가 7.28%에서 2.48%로, 서초구가 6.00%에서 4.21%로 각각 떨어졌다.
부동산114 김규정 차장은 “3·30 대책은 재건축 아파트와 고가 아파트를 겨냥하고 있어 강서구와 동작구 등은 직접적인 타깃이 아니었다.”면서 “이들 지역은 뉴타운 등 개발 호재를 타고 주로 30평형대 아파트를 중심으로 많이 올랐다.”고 분석했다.
강충식기자 chungsik@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