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에 일본인들에게 통상을 열어주었던 왜관(倭館) 가운데 유일하게 흔적이 남아 있던 경북 칠곡군 왜관읍도 이름이 바뀌게 됐다.
또 달동네의 대명사였던 서울 관악구 봉천동과 신림동, 도축장을 연상케 하는 서울 성동구 마장동 등도 변경될 것으로 보인다.
행정자치부는 최근 행정구역 명칭을 정비하기 위해 일제조사를 벌인 결과 모두 104건의 정비대상을 선정했다고 9일 밝혔다. 지방자치단체는 동두천시가 유일하다. 읍·면·동이 41곳, 이(里)가 62곳 등이다. 전남이 19곳으로 가장 많고, 강원 18곳, 충북 16곳, 서울 15곳, 경북 12곳 등이다.
동두천처럼 이미지가 좋지 않아 명칭 변경을 희망한 지역이 많다. 서울 강동구 하일동과 광주 서구 쌍촌동, 경기 여주군 산북면 하품리, 강원 춘천시 남산면 통곡리 등은 어감이 좋지 않다고 변경을 요청했다.
일제시대에 민족정기를 말살하기 위해 왜곡된 명칭도 바로잡는다. 강원 강릉시 왕산면(旺山面)이나 충남 논산시 광석면 왕전리(旺田里)처럼 ‘임금 왕(王)’ 대신 ‘성할 왕(旺)’으로 바뀐 지역 등이 포함됐다.
지역의 특색이나 역사성을 부각시키기 위한 변경 작업도 추진된다. 충북 보은군 내속리면은 속리산면으로, 전남 해남군 문내면은 우수영면으로, 전남 해남군 송지면 갈두리는 땅끝리 등으로 바꿀 수 있게 됐다.
권혁인 행자부 지방행정본부장은 “행정구역 명칭변경은 올해 말까지 여론수렴을 거쳐 지방자치단체 자율적으로 추진할 것”이라면서 “필요한 예산은 해당 자치단체가 부담하게 되지만, 예산 부담이 크면 정부 지원도 고려할 수 있다.”고 말했다.
행정구역 명칭은 지역주민 절반 이상이 참여한 여론조사에서 3분의2 이상이 찬성해야 바꿀 수 있다.
장세훈기자 shjang@seoul.co.kr
2006-8-10 0:0:0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