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아시안게임 유치 명품도시 도약기반 마련
개항 114주년을 맞은 항구도시 인천이 다시 뜨고 있다. 안상수 인천시장은 2일 “인천을 2020년까지 세계 10대 도시 수준의 명품도시로 만들겠다.”는 비전을 밝혔다. 안 시장은 세계도시엑스포가 개최되는 2009년까지 도시기반 구축, 아시안게임이 열리는 2014년 명품도시 진입, 경제자유구역이 완료되는 2020년 세계 10대 도시 부상이라는 로드맵을 제시했다.인천시는 그동안 ‘서울의 그늘’이라는 패배의식에서 탈피하기 위해 몸부림쳤지만 지지부진했다. 하지만 지난 1년간 상황이 크게 달라졌다. 정책이 세밀해지고 추진력의 강도가 예전 같지 않다. 시민들 사이에도 ‘뭔가 되는 것 같다.’는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다.
분위기 반전은 경제자유구역 개발 본격화와 2014년 아시안게임 유치 등이 주도하고 있다.
아시안게임 유치는 인천이 국제도시로 도약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 도시기반시설 확충 등 유·무형의 개발효과가 기대되기 때문이다.
인천이 아시안게임 유치전에 뛰어든 지 2년 만에 대회를 유치하리라고 예상하지 못했다. 일부에서는 ‘선거용’이라고 폄하하기까지 했다. 하지만 안 시장과 신용석 유치위원장의 ‘투톱’은 기어이 일을 저지르고(?) 말았다. 지난 4월17일 쿠웨이트 메리어트호텔에서 알사바 아시아올림픽평의회 회장이 “2014년 개최지는 인천”이라고 외치는 순간의 감격은 인천인들에게 오랫동안 기억될 것이다.
경제자유구역 개발에 탄력이 붙고 있는 것도 인천이 주목받는 이유다.IT·BT 중심 도시로 개발되는 송도국제도시에는 국제업무단지(173만평), 지식정보산업단지(80만평), 첨단바이오단지(10만평) 등이 착착 조성되고 있다.
송도국제도시의 랜드마크가 될 동북아트레이드타워(65층)는 지난해 7월 착공돼 2010년 완공되며,151층 짜리 인천타워는 올 연말쯤 공사에 들어가 2012년 완공된다. 또 인천국제공항이 자리잡은 영종지구는 항공물류·국제관광·산업·주거 등의 복합 기능을 지닌 자족도시로 개발되고 있다. 국제금융·레저단지로 조성되는 청라지구는 지난해 7월 기공식을 가졌다.
게다가 2009년 세계도시엑스포와 로봇축구대회가 유치되고, 자기부상열차 시범노선이 영종도로 결정되는 등 겹경사가 잇따르고 있다.
인천 김학준기자 kimhj@seoul.co.kr
2007-7-3 0:0:0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