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초구가 이색적인 토론회를 준비한다. 서초구 탄생 20주년을 기념해 오는 30일 진행될 이번 토론회는 10년 후 미래를 상상해 구정의 큰 그림을 그리는 이른바 ‘상상토론회’다.
물론 미래에 예상되는 문제점을 짚어보고 지금부터 준비해야 할 사안들을 꼽아보는 시간이기도 하다. 최종 결선만을 남긴 토론은 도시계획, 교통, 사회복지, 보건의료, 환경 등 5개 분야에 나눠 진행되는데 예선부터 치열했다.
부서별로 브레인 스토밍과 자료조사를 통해 준비한 총 23건의 보고서 중 17건은 이미 고배를 마셨다. 마지막까지 남은 5건이 다음주 초 격돌한다.
결선에 오른 5건의 토론회 안건 속에는 활어처럼 생생한 아이디어들이 녹아 있다. 먼저 도심에서 절대 부족한 공원부지와 상업시설을 확충할 묘안들이 제시됐다.
부족한 녹지를 얻기 위해 경부고속도로 위로 덮개공원이 조성되면서 결국 고속도로가 기다란 숲으로 변할 것이란 희망적인 청사진도 제시됐다.
강남대로와 반포로에는 지하도시를 조성하는가 하면 무빙워크를 통해 지하철 환승과 쇼핑을 편안하게 할 수 있게 된다.10년 후 우면동과 내곡동에 들어서는 국민임대주택이 초절정의 인기를 누릴 것이라는 전망과 이 임대단지가 결국 강남의 집값을 안정화시키는 데 일조할 것이란 의견도 제시됐다. 복지에선 독거노인을 원격으로 돌볼 수 있는 시스템이 전국 최초로 완벽히 구축될 것이란 방안도 나왔다.
하익봉 기획경영국장은 “실무자로서 실현 가능하다고 보는 정책들을 소박하지만 진솔하게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이 큰 장점”이라고 말했다.
흔히 용역보고서를 통해 학자들에게 제시하는 중장기 계획만이 아닌, 오랜 실무경험을 가진 공무원들의 비전 제시가 중요하다는 의미다. 서초구가 다소 황당한 토론회를 준비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박성중 구청장은 26일 “공무원 스스로가 미래를 예측하고, 관행을 개선하고 대안을 모색할 때만 현실을 바꿀 만한 행정이 나온다.”면서 “특히 말단 9급까지 자기의 주장을 맘껏 펼칠 수 있는 토론문화가 형성돼야 혁신적인 아이디어도 결실을 보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유영규기자 whoami@seoul.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