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수는 한국국제협력단(KOICA)으로부터 수탁받은 경우와 자체 계획으로 나뉜다.KOICA를 통한 연수생은 한해 4000여명에 이른다. 이 가운데 1300여명이 공기업 연수생이고 주로 동남아·중동·아프리카 출신이다.
연수 기간은 2∼5주로 짧지만 프로그램이 알차다. 정책 설명(강의)과 현장교육이 병행돼 행정 노하우와 전문 기술을 한꺼번에 전수하도록 짰다. 연수생의 대부분은 고급 공무원과 전문가들이다. 해당 국가의 정책 입안·결정 과정에 키를 쥔 엘리트들이라서 공기업이나 국내 기업의 해외 진출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 국가 차원의 저개발국 국가 지원이라는 취지 외에도 외국인 연수생 교육을 해외 진출에 필요한 ‘내편 만들기’의 기회로 삼고 있다.
KOICA 전준호 팀장은 13일 “연수생 가운데는 해당 국가의 중요 개발 프로젝트에 깊이 관여하고 있는 사람이 많다.”며 “공기업 연수는 단순 행정 노하우를 전수하는 정부 기관 연수보다 훨씬 효과가 크다.”고 말했다.
주택공사는 해마다 연수생을 받아 주택과 도시에 관한 전반적인 제도·관련 기술을 전파하고 있다. 주택·도시 사업 해외 진출을 노리는 주공으로서는 더없이 좋은 계기다. 그동안 이라크와 몽골 연수생을 받았는데 올해는 베트남 공무원 12명도 받았다. 대규모 신도시 개발을 추진하고 있는 베트남 진출을 겨냥한 포석이다.
도로공사는 2004년부터 올 상반기까지 14개국 138명을 교육했다. 연수생은 사회간접자본시설 투자붐이 일고 있는 중국, 캄보디아, 이라크, 베트남 등 동남아와 중동 국가 출신이다. 도로교통의 경영 노하우와 기술을 전수한다. 하반기에도 10개국 70명의 연수생을 받을 계획이다. 지적공사는 최근 말레이시아 지적 공무원에게 한국의 지적제도와 측량기술을 교육하고 있다. 국토지리정보원과 일선 구청을 방문, 지적 전산화시스템 등을 눈으로 확인시켜 주기도 했다. 첨단 장비를 이용한 지적 측량 실습도 가졌다. 지적공사는 라오스, 베트남, 모로코, 아제르바이잔, 몽골 등에 진출해 있다.
연수에는 폐기물 처리 기술 노하우 전수도 들어있다.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는 동남아 국가의 공무원 연수와 함께 한국 주재 아시아 국가 외교관 현장 초청행사도 갖고 있다. 막 시작된 쓰레기매립지 기술 수출에 탄력을 주기 위해서다. 개발도상국 환경사업 진출을 활발하게 펼치고 있는 환경관리공단도 연수생 교육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토지공사는 지난 3일부터 3주간 일정으로 이집트·모로코·우간다 공무원 7명을 대상으로 ‘아프리카 도시 및 지역개발정책’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전문가 강의와 분당·일산 신도시를 방문, 도시 개발 관련 기법을 전수하고 있다. 연수생의 자국 사례 발표를 통해 해당 국가의 정보도 얻는다.
랄라 알람드 리시 연수생(모로코 내무부 과장)은 “단기간에 계획적인 대규모 신도시를 건설한 한국의 저력에 놀랐다.”며 연신 원더풀을 외쳤다. 그는 “토공의 유비쿼터스 기반 도시개발은 훌륭한 수출품이 될 것”이라며 “한국의 풍부한 경험과 앞선 기술을 모로코 도시개발에 접목시키고 싶다.”고 말했다. 모로코는 토공이 아프리카 국가들의 신도시 개발에 진출하기 위한 전략 국가 중의 한 곳이다.
류찬희기자 chani@seoul.co.kr
2008-7-14 0:0:0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