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시 복원계획에 따르면 도봉천의 경우, 1km에 걸쳐 샘터와 주민들이 운동할 수 있는 공간이 조성된다. 특히 중랑천 합류지점에 도봉산을 형상화한 벽천분수·수변공간을 만들며 전 구간에 여울과 소(沼)를 설치해 지역주민들이 물소리를 들으며 산책할 수 있는 휴식공간으로 바꿀 계획이다.
복개로 인해 단절된 방학천에는 실개천뿐 아니라 오픈 스페이스를 이용한 물마루 공원을 만들고, 주변지역의 유래·문화유적들에 대한 설명을 들을 수 있는 스토리텔링 아트 갤러리가 조성된다.
당현천 6.1km 구간엔 연극·연주·음악·전시회를 할 수 있는 소리공원을, 우이천엔 물고기 통로 어도와 여울등을 설치하고, 묵동천엔 계절별 테마를 즐길 수 있는 야외정원 등을 만들 예정이다.
고태규 시 물관리국 하천관리과장은 “7개 하천에 맑은 물이 흐르면 물놀이는 물론, 버들치, 살치 등 다양한 생물이 사는 생태하천이 되살아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강동삼기자 kangtong@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