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자유구역은 2003년 1차로 인천, 부산·진해, 광양만에 이어 2008년에 황해, 대구·경북, 새만금·군산 등이 지정되었다.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의 경우 3일 현재 9개 외국기업과 투자유치 양해각서(MOU)를 체결했으나 실제 투자로 이어진 경우는 프랑스의 3D업체인 다쏘시스템 단 한 곳뿐이다. 경제자유구역의 핵심인 대구신서혁신도시는 2012년까지 공공기관 이전이 끝나야 하지만 현재 공정률은 30%에 불과하다. 이와 함께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의 11개 사업지 중 포항융합기술산업지구, 대구테크노폴리스 등의 시행업자인 LH가 부채를 이유로 사업 재검토를 고민해 제대로 추진될 수 있을지 의문이다. 경산지식산업지구, 국제문화산업지구, 영천하이테크파크 등 3개 지구는 아직까지 사업시행자조차 찾지 못하고 있다. 특히 국제문화산업지구는 자유구역청과 계명대 측 간 부지매입에 따른 이견으로 난항을 겪고 있다.
황해경제자유구역은 외자 유치 실적이 양해각서 체결 6건(2억 5000만달러)이 전부다. 황해경제자유구역청 관계자는 “2년 전부터 시작된 국제 금융위기와 송악지구의 비싼 땅값(3.3㎡당 60여만원) 때문에 외국 투자자들이 투자를 꺼리고 있다.”고 진단했다. 또 당진 송악지구 사업자인 당진테크노폴리스의 대주주인 한화도시개발도 최근 경기침체에 따른 자금난을 이유로 사업의 잠정 중단을 결정했다.
새만금경제자유구역의 투자유치 실적도 초라하다. 지난달 28일에야 첫 투자유치에 성공했다. 투자대상 지역은 새만금지구 산업단지 1-2공구 일원에 98만 6000㎡를 구축할 예정이며, 2014년 매립과 조성이 완료되면 군산대학교와 조선해양 기업들이 입주해 산학연 클러스터를 구축할 예정이다. 그동안 750억원을 투자키로 한 ㈜쌈지가 투자협약을 맺은 지 일주일 만에 부도를 맞았다. 전북도와 새만금경제자유구역청이 나서 추진 중인 미국 패더러 디벨로프먼트사와의 9200억원대 투자협약도 막판에 파기됐다.
대구지역 경제단체 관계자는 “경제자유구역이 제대로 정착을 하려면 외국개발사업자를 끌어들이거나 장기간 투자자금을 회수할 수 있는 사업권을 주는 등 다양한 개발전략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국종합·대구 한찬규기자 cghan@seoul.co.kr